"이 모든 것은 기적입니다."
경북 안동 풍산 출생으로 8세 나이로 한국전쟁의 격전지 다부동 전투에서 군수물자를 나르던 아이가 71년이 지나, '꿈의 공연장'이라 일컫는 미국 뉴욕 카네기홀 무대에 우뚝 섰다. 그 주인공은 올해 79세로 전 세계 200개국 가까이 오지탐험을 한 도용복((주)사라토가 회장) 대구한의대 특임교수.
도 교수는 지난 5월29일 카네기홀에서 변원탄 전 부산국제합창제 조직위원장과 함께 한국전쟁 전사자들을 위로하는 무대에 섰다. 이날 무대에는 대한민국 노엘합창단, 미국 영스타운 대학 합창단 등 150여 명이 영국 작곡가 존 루터의 '레퀴엠'(진혼곡)을 함께 불렀으며, 재미동포 이해종 영스타운 주립대 교수가 지휘를 맡았다.
"메모리얼 데이의 한국전쟁 전사자들을 위로한다는 마음에 여독이 풀리기도 전에 10시간의 맹연습을 거쳐, 한 목소리를 낼 수 있었습니다. 가슴 뭉클했습니다. 71년 전 군수물자를 나르던 한 아이가 이렇게 한국전쟁 전사자들을 위해 카네기홀에서 노래한다는 것 자체가…."

도 교수는 "1950년 8월 뜨겁던 여름, 대구 북방 22km 지점에서 낙동강 방어선을 지키기위한 치열한 사투가 벌어졌던 다부동 전투. 그곳에서 전쟁에 기여하면 흰 쌀밥을 준다는 말에 죽음과 가장 가까운 곳으로 군수물자를 날랐다"며 "이런 인연으로 팔순이 다 되어, 카네기홀에서 숭고하게 목숨을 받친 이들을 위해 노래를 부르게 됐다"고 밝혔다.
현재 부산국제합창제 조직위원장을 맡고 있는 도 교수는 모차르트의 프랑스 민요 '작은 별'에 한국전쟁 당시 참전했던 UN 참전국들의 나라명을 하나도 빠짐없이 넣어서 만든 'UN 참전국송'의 작사가이기도 하다.
그는 "한국전쟁 당시 낙동강 방어선이 무너졌다면, 인천상륙작전도 성공할 수 없었다"며 "지난 70여 년, 대한민국은 '산업화', '민주화'라는 기적의 역사를 썼다. 그 역사의 살아있는 증거가 바로 제 인생"이라며 눈시울을 붉혔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