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당권도전에 나선 이른바 비명계(비이재명계) 후보들이 이재명 상임고문의 '사법 리스크'를 집중적으로 파고들고 있다. 여권이 벼르고 있는 사정정국을 돌파하기 위해서는 흠결이 적은 후보가 당을 이끌어야 한다는 논리다.
이같은 논리는 '어대명'(어차피 당 대표는 이재명) 분위기가 완연한 상황을 돌파하기 위해서는 이 고문의 최대약점을 물고 늘어져야 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에선 제1야당의 내부 권력투쟁 과정에서 '누워서 침 뱉기' 행태가 과도할 경우 전당대회 후 당이 극심한 내홍에 빠져들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강병원 의원은 13일 YTN 라디오에 출연해 "당이 민생을 챙기는 정당으로 인정받아야 할 때 사법 리스크가 발목을 잡지 않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 고문이 당의 간판으로 나설 경우 대장동 개발비리 의혹과 성남 FC 후원금 의혹 등 야당 대표의 겨냥한 수사에 대응하느라 민생위기를 제대로 챙기지 못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다.
박용진 의원도 이날 CBS 라디오에 출연해 "(이 고문의 출마가) 사법 리스크에 대한 '방탄용'이라는 비판적 시선이 있다는 것을 (이 고문도) 알 것"이라고 견제구를 날렸다.
여권이 사정정국 조성을 위해 전열을 정비하고 있는 상황에서 굳이 '먹잇감'을 던져줄 필요가 있느냐는 지적이다.
당내에선 이 같은 우려가 현실화 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당 대표에 대한 본격적인 '공격'이 시작될 경우 이에 대한 대응에 골몰하느라 민생 챙기기가 뒷전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당 관계자는 "사실상 차기 총선 공천권을 쥐고 있는 당 대표 눈에 들기 위해 소속 의원들이 경쟁적으로 호위무사를 자처하는 상황도 배제할 수 없다"며 "특히 여권의 실정을 공격하며 차기 총선을 준비해야 할 제1야당이 '수비'에만 치중할 경우 다음 총선이 어려워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대래 이 고문 측은 정적(政敵)들이나 할 법한 흑색선전이라고 발끈했다. 최고위원 후보인 정청래 의원은 KBS 라디오에 출연해 "강력한 리더십에는 이 고문이 적합하다"고 말한 뒤 "허상을 갖고 리스크가 있다는 식으로 이야기하는 것에 반대한다"고 이 고문을 두둔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