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힘 미디어특위 "KBS·MBC 민주당 정권의 부역방송으로 일했다"…편파보도 사례 제시

"목숨건 북한 귀순을 '여행'이라고 조롱한 MBC 앵커는 민주노총 산하 언론노조 핵심멤버"

MBC. 사진=연합뉴스
MBC. 사진=연합뉴스

국민의힘 미디어특위가 15일 "문재인 정권 5년 동안 KBS와 MBC가 공정방송을 해왔는지 정말 양심에 손을 얹고 생각해 볼 일이다"라며 현 KBS와 MBC를 비판했다.

전날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KBS·MBC가 민주노총 언론노조에 의해 좌지우지되고 있다"발언하자 일부 기자들이 '기자 개인의 양심에 따른 보도'라고 반발하면서 논란이 가중됐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 미디어특위는 성명서를 통해 "터무니없는 주장"이라며 KBS와 MBC가 민주당 정권의 부역방송으로 일해 온 사례는 차고도 넘친다"고 주장했다.

오히려 미디어특위는 'KBS의 대표적인 편파보도 사례 4가지'를 밝혔다. 미디어특위에 따르면 첫 번째 편파보도는 지난 2020년 7월 KBS는 한동훈 당시 검사장과 이동재 전 채널A 기자 간 녹취록에서 공모관계가 드러났다는 취지의 보도였다. 국민의힘 측은 "해당 보도는 친정권 인사와 공영방송이 유착해서 한 기자를 범죄자로 몰아간 희대의 권언유착 사기극이었다"라며 "MBC가 주도했고, KBS가 동조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서울시장 보궐선거 당시 '생태탕' 보도도 편파보도로 꼽았다. 당시 KBS는 오세훈 시장 내곡동 처가 땅 측량 현장에 오 시장이 현장에 있었다는 목격자의 주장을 바탕으로 의혹을 제기했다. 국민의힘 미디어특위는 "확인되지 않은 목격자의 일방적 주장을 바탕으로 의혹을 제기하며 수십 차례 흠집내기식 보도를 했다"라며 "KBS가 시작한 '생태탕' 의혹 보도는 급기야 김어준의 '생떼탕'으로 발전되는 지경에까지 이르렀다"고 비난했다.

이 밖에도 미디어특위는 'KBS 라디오 시사프로그램의 편향적인 진행자 및 패널 구성'과 '일본 불매운동 자유한국당 로고 삽입 파문'을 언급하며 공영방송이 편파보도 해왔다고 주장했다.

미디어특위는 "이런 사례들이 기자의 양심에 걸맞은 보도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라며 "위 보도들은 모두 민주노총 산하 언론노조원들이 주도했지만 언론노조는 단 한 마디의 반성도 사과도 없었다"고 비판했다.

특히 미디어특위는 14일 MBC <뉴스외전>이 보도한 '북한이 대한민국 영토이면 귀순은 여행?' 이라는 헤드라인에 대해 강도 높게 반발했다.

미디어특위는 "권순표 앵커는 탈북민의 목숨을 건 귀순을 '북한 영토를 우리 영토로 규정한 헌법 3조를 기계적으로 따르게 되면 북한 마음대로 드나들어도 되는 거 아닌가요? 그 법을 기계적으로 북한 사람이 여행 오면 귀순도 아니고 여행 아닌가요'라고 조롱했다"라며 "권순표 앵커는 민주노총 산하 언론노조의 핵심멤버다. 이것이 민주노총 산하 언론노조의 양심인가"라고 되물었다.

국민의힘 미디어특위는 계속적으로 '공영방송'의 공정 의무를 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디처특위는 "방송법 제6조 제1항 '방송에 의한 보도는 공정하고 객관적이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양심을 빙자해 '제멋대로 편파방송'을 자행할 자유는 누구에게도 없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