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SK하이닉스, 청주공장 증설 보류

고환율, 고물가 등 세계 경제 불확실성 커진 탓
4조3천억원 투자할 반도체 공장 증설 결정 미뤄
국내외 기업들도 대형 투자 계획 재검토에 들어가

SK하이닉스 이천 M16 공장. SK하이닉스 제공
SK하이닉스 이천 M16 공장. SK하이닉스 제공

SK하이닉스가 최근 충북 청주공장 증설 계획을 전격 보류했다. 고환율, 고물가 등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SK하이닉스 이사회가 공장 증설 계획에 제동을 건 것으로 알려졌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지난달 29일 열린 이사회에서 청주공장 증설 안건을 의결하려다 논의 끝에 최종 결정을 보류했다. 이사회에서 좀 더 신중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는 게 업계 쪽 얘기다.

애초 청주 테크노폴리스 산업단지 내 43만3천여㎡ 부지에 약 4조3천억원을 투자, 새 반도체 공장(M17)을 증설하는 게 SK하이닉스 측 계획. 향후 세계 시장에서 메모리 반도체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 것에 미리 대비한다는 복안이었다.

SK하이닉스. 매일신문DB
SK하이닉스. 매일신문DB

새 반도체 공장은 내년 초 착공, 2025년에 완공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이번에 이사회가 최종 결정을 미루면서 착공 시기도 연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향후 일정에 대해서도 아직 결정된 바가 없다는 게 SK하이닉스 측 입장이다.

이 같은 흐름은 반도체 업황 전망이 불투명해진 탓이다. 우크라이나 사태가 장기화하고 세계 각국이 인플레이션으로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하락세에 진입한 세계 D램 업황도 한동안 회복되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많은 상황이다. 이 때문에 SK하이닉스가 내년 설비 투자 계획도 조정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다른 반도체업체들도 투자 계획 조정 작업에 들어간 모양새다. 업계 관계자는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인 대만 TSMC는 최근 실적이 좋은 데도 시설 투자(CAPEX) 계획은 하향 조정했다"며 "메모리반도체 업계 3위인 미국 마이크론도 최근 공급 과잉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신규 공장과 설비 투자를 줄인다고 밝혔다"고 했다.

삼성전자 등 국내 주요 대기업도 투자 계획을 재검토 중이다. 이들은 새 정부 출범 이후 1천조원이 넘는 중장기 투자계획을 발표한 상태. 하지만 고물가, 고환율 등 대내외 경제 여건이 녹록지 않아 계산기를 다시 두드리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LG에너지솔루션만 해도 미국에 1조7천억원을 투입, 배터리 단독공장을 짓기로 한 계획을 전면 재검토하고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