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과 정부가 서민·중산층의 세금 부담을 낮추기 위해 직장인 소득세 인하를 추진하기로 했다. 또 민간기업 활력을 높이기 위해 법인세율을 낮추고 중소·중견기업 상속공제요건도 완화하기로 했다.
우리나라는 특정 계층 및 대기업의 세금 부담이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평균보다 크다. 문재인 정부 5년 동안 '표적 증세'로 이런 현상은 더 심화됐다. 문 정부는 대기업을 겨냥해 법인세 상위 구간 최고 세율을 22%에서 25%로 올렸다. 그 결과 법인세 최고 세율은 OECD 평균보다 4%포인트나 높다. 기업은 신규 투자, 신규 채용을 줄이는 식으로 움츠러들었다. 대기업 잡으려다 대기업에 취업하고 싶은 취업 준비생들을 잡은 꼴이다. 문 정부는 근로소득세 최고 세율 역시 40%에서 45%로 높였다. 지난해 직장인들이 낸 근로소득세도 47조 원으로 문 정부 전보다 1.5배 늘었다. 부동산과 주식 등 보유 자산과 관련해 낸 세금도 68조 원으로 문 정부 출범 전보다 2.7배나 늘었다.
우리나라는 법인세 납부액의 약 96%를 매출 상위 10% 법인이 납부한다. 근로소득세는 소득 상위 10%가 전체의 73%를 납부한다. 법인 49%, 근로자 37%는 세금을 한 푼도 내지 않는다. '세원은 넓게, 세율은 낮게'라는 조세 원칙과 맞지 않다. 당정 발표대로 소득세와 법인세를 줄이자면 지출을 줄여야 한다. 문 정부가 한껏 늘린 지출을 줄이면 부작용이 클 수밖에 없다. 재정 건전성 확보를 위해서 덜 쓰는 노력과 함께 세원을 넓혀야 한다. 저소득 근로자들에게 세금 안 걷는 것만이 배려가 아니다. 더 많은 근로자가 세금을 낼 수 있도록 일자리 양질화에 집중해야 한다.
윤석열 정부의 이번 세부담 완화 및 법인세율 완화 방침은 문 정부 이전으로 회귀하는 수준이다. 중소기업들은 상속세를 내고 나면 기업을 물려주어도 운영이 불가능하다고 호소하고 있다. 상속공제요건 완화 차원을 넘어 2세가 동일 업을 이어갈 경우 상속세를 유예하는 것도 기업 발전과 고용을 이어가는 한 방법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