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코로나19 증상이 있는 근로자가 출근하게 되면 집단감염 발생 가능성이 커진다며 '아프면 쉬는 문화' 정착을 위한 기업과 소상공인의 협조를 당부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20일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정례브리핑에서 "근로자가 쉴 수 없는 환경이 돼서 증상이 있는데도 출근을 하게 되면 결과적으로 그 집단 내에서 상당한 규모의 집단감염들이 발생할 수 있다"며 "궁극적으로 더 많은 근로자가 쉴 수밖에 없는 결과를 낳는다"고 밝혔다.
이어 "아프면 쉴 수 없는 환경이 정착하지 못하면 손실이 더 커질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고 문화가 정착되도록 요청드린다"라고 말했다.
현재 정부는 고용노동부를 중심으로 경제단체, 근로단체 등과 아프면 쉬는 문화 정착에 대해 범부처적으로 논의·홍보하고 있다.
현재 축소 중인 격리지원금 지급 대상을 재유행 상황에서 다시 늘릴 계획을 묻는 질문에는 "국가 전체적 재정 여력을 봐가면서 재정의 활용 가능성을 고려해 검토해야 할 사안"이라며 "현재는 전체적 재정여력과 형평성, 일상으로 체계 복원 등을 고려해 지원금들을 취약계층 중심으로 좁혀나가고 있던 단계이고, 재정 여력을 고려한 종합적인 의견들을 재정당국과 논의해 나가겠다"고 언급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