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민 10명 중 4명은 층간 소음이나 반려동물 소음에 따른 이웃 간 불화를 공동주택 의 안전을 위협하는 가장 큰 원인으로 꼽았다.
대구시 자치경찰위원회는 21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자치경찰의 역할 및 정책추진을 위한 여론조사' 결과를 공유했다.
이번 조사는 18세 이상 대구시민 1천명을 대상으로 자치경찰 행정서비스를 객관적, 계량적으로 측정하고자 실시됐다.
우선 응답자 중 40.7%는 공동주택 내 안전에 위협이 되는 가장 심각한 문제로 '층간소음, 반려동물 소음으로 인한 이웃 간 불화를 꼽았다. '공동주택 내 허술한 보안 장비'를 안전 위협으로 꼽은 응답자는 27.5%를 차지했다.
여성 1인가구, 노인가구 등 특정집단을 목표로 한 주거 침입 범죄(26.6%)도 높은 응답비율을 보였다.
안전에 위협을 느끼는 상황으로는 '어두운 야간 보행로 통행'(28.2%)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CCTV 사각지대에서 범죄 위험'(28.0%), '지역 사회 내 주취자 및 정신질환자 난동'(25.1%), '안전시설 미설치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7.5%) 등을 지목했다.
셉테드(CPTED·범죄예방도시디자인) 사업은 응답자 중 83.6%가 범죄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답했다. 셉테드 방식으로는 'CCTV 확대 설치'(73.6%), '스마트 비상벨 도입'( 33.7%), 'LED 보안등 설치'(30.6%) 등의 선호도가 높았다.
어린이보호구역(스쿨존) 안전을 위해 응답자 중 45.1%가 '초·중·고등학생 대상 교통안전 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19.6%는 '스쿨존 불법주정 차량 단속 강화'를 꼽았다.
고령자 운전면허 자진 반납을 확대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응답자 중 28.2%가 고령자 나드리콜 택시 운영 등 고령자에 대한 특화된 교통정책이 선행돼야 한다고 답했다.
조건제 운전면허제 도입 등 고령자 운전면허 반납을 법제화(25.4%)하거나 운전면허 반납 시 지원하는 금액을 상향하자(24.1%)는 의견도 많았다.
성범죄 대응을 위한 자치 경찰의 역할로는 응답자 중 절반(49.1%)이 '성범죄 가해자 처벌 강화를 위한 법제 정비'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피해자 신변보호 조치 강화(29.2%), 피해 모니터링 및 단속 강화(12.2%) 등의 요구도 있었다.
스토킹 범죄 조치 방안으로는 피해자·가해자 분리 및 접근금지 조치(35.1%), 피해자와 그 가족에 대한 보호조치(30.9%), 피해자 거주지 주변 CCTV 강화를 통한 신변보호(16.8%) 등을 요구했다.
박동균 대구시 자치경찰위원회 사무국장은 "시민들의 의견을 청취해 자치경찰 치안정책에 반영함으로써 시민들이 일상에서 느끼는 두려움과 걱정을 줄이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