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 스펙트럼 변호사가 주인공으로 나오는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가 인기를 얻으면서 실제 장애인의 임금 수준에 관심이 쏠린다. 대형 로펌에 다니는 신입 변호사 우영우와 달리 장애인 임금근로자 평균 임금은 일반 근로자의 70% 수준에 그쳤다.
24일 한국장애인개발원의 '2021 장애인통계연보'에 따르면, 2020년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평균 임금(최근 3개월간 월평균)은 197만1천원으로, 전체인구 임금근로자의 임금(268만1천원)의 70% 정도에 머문다.
관리자나 전문가인 장애인의 임금은 281만8천원으로 전체 장애인 임금근로자보다 84만7천원 많다. 그러나 우영우의 추정 월급과 비교하면 4분의 1 수준이다.
장애인에게는 취업 자체가 높은 벽이다.
2020년 15세 이상 장애인구 256만2천873명 중 경제활동인구는 94만9천47명이고, 이 가운데 취업자는 89만3천392명이다. 장애인구의 경제활동참가율은 37.0%, 고용률은 34.9%로, 전체 인구 경제활동참가율(63.0%), 고용률(60.2%)의 절반 수준이다.
우영우처럼 대졸 이상 고학력을 가진 장애인의 고용률은 60.3%로 높지만, 전체 인구 중 대졸 이상의 고용률(73.9%)에는 못 미친다. 대졸 이상 교육을 받은 장애인의 비율도 13.3%로, 전체 인구의 대졸 이상 학력자가 39.0%인 것과 대비된다.
장애인 취업자 중 60.7%는 몸 외부 기능에 제약이 있는 지체장애인(뇌병변·안면장애 제외)이다. 자폐성을 포함한 정신적 장애인의 비율은 6.4%다.
장애인 취업자의 직업은 단순 노무 종사자가 27.8%로 가장 많다. 우영우의 직업인 변호사를 포함하는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의 비율은 9.2%다.
통계청과 한국장애인고용공단 등의 통계 자료를 토대로 한 장애인통계연보와 달리, 장애인 대상 패널조사로 이뤄진 한국장애인개발원의 '장애인의 삶' 보고서를 보면 자폐인의 교육·직업 현황을 더 세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5천여명의 장애인이 패널로 참가한 2020 장애인의 삶 조사에서 임금소득자인 장애인 중 월 500만원 이상 고소득을 올리는 경우는 100명 중 3∼4명 수준(3.7%)으로 극히 적었다.
임금소득자인 장애인의 월평균 소득은 '100만원 이상 200만원 미만'인 경우가 37.6%로 가장 많았다.
지적·자폐성 장애인 가운데서는 월 400만원 이상 받는다고 답한 사례가 전혀 없었다. 46.8%는 월 100만원 미만, 44.5%는 100만원 이상 200만원 미만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드라마 속 우영우는 경증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장애인개발원 관계자는 "보건복지부에 장애인으로 등록된 자폐에서는 경증이 거의 없고 대부분 장애가 심한 경우"라고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