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보문단지 침체" 반발에…경북도 "경주엑스포 관리권 市에 이관 검토"

경북문화재단과 통합하려던 방안에 반발 거세자 새 방안 제시
"지역 상징 크다는 점 고려" 도민 의견 반영 절차 수순
"예산·경영 부담 떠넘기기" 일각선 책임 회피 분석도

경북 경주엑스포대공원 전경. (재)문화엑스포 제공
경북 경주엑스포대공원 전경. (재)문화엑스포 제공

공공기관 구조개혁을 꾀하던 경북도가 문화엑스포(경주문화엑스포대공원) 통합에 따른 '보문단지 침체(매일신문 7월 20일 보도)' 지적에 그 관리권을 경주시에 넘기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일각에선 반발을 구실로 경북도가 문화엑스포에서 손을 떼려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24일 경북도에 따르면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최근 경북도의회와 경주시에 "경주시민이 원한다면 문화엑스포를 시민 품에 돌려주겠다"고 제안했다. 문화엑스포 관리 권한을 경주시에 넘기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의미로 풀이됐다.

경북도는 문화엑스포가 그간 여러 차례 국제행사를 치르며 세계적 수준의 역량과 전문성을 가진 기관으로 성장했고, 경주시에서 문화엑스포가 가지는 지역적 상징성도 크다는 점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경북도는 산하 공공기관 구조개혁안을 내놓고서 문화엑스포와 경북콘텐츠진흥원을 문화 분야 새 헤드 기관인 경북문화재단 산하에 통합하는 방안을 추진했다.

이런 사실이 알려지자 경주시의회, 경주에 기반을 둔 천년미래포럼 등이 거세게 반발했다. 이미 수년 째 국제행사를 열지 않던 경주보문관광단지의 상권 침체를 더욱 가속화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이들은 통합 시 경북도와 경주지역과의 갈등, 기관의 이질성, 업무 비효율성 등 후폭풍이 일 수 있다는 지적도 내놨다.

경주 지역에선 "경북도와 경주시가 절반씩 지분을 보유한 문화엑스포를 시민의견 수렴 없이 일방적으로 통폐합하는 것은 반대한다"고 목소리 높였다.

배진석 경북도의원(경주)도 지난 22일 도의회 5분 발언에서 "도민과 소통 없이 공공기관 구조개혁을 추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상황이 이런 만큼 경북도는 문화재단-문화엑스포 통합 방안에 대해 상황을 좀 더 면밀히 검토하는 한편 의회·주민 의견도 귀 기울여 듣고서 방향을 정한다는 방침이다.

드넓은 야외 공원과 다양한 역사문화 콘텐츠를 두루 갖춘 경주엑스포대공원 전경.(재)문화엑스포 제공
드넓은 야외 공원과 다양한 역사문화 콘텐츠를 두루 갖춘 경주엑스포대공원 전경.(재)문화엑스포 제공

경북도가 기존 통합안 대신 '관리권 이관' 카드를 꺼내든 것을 두고 그간 손이 많이 가던 문화엑스포를 이번 기회에 정리하려는 것 아니겠느냐는 해석도 나온다.

문화엑스포는 1996년 출범해 경주세계문화엑스포(1998년), 앙코르-경주세계문화엑스포(2006년), 이스탄불-경주세계문화엑스포(2013년), 호찌민-경주세계문화엑스포(2017년) 등 굵직한 국제행사를 10회 이상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문화엑스포는 경북도와 경주시가 매입비를 절반씩 부담한 경주엑스포대공원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도의회 등은 문화엑스포에 대해 기능적 한계가 크고 경영이 방만하다는 등 지적을 여러 차례 내놨다. 경북도 재정여건을 고려할 때 수백억원을 들여 해외 엑스포를 유치하는 것이 경북도 문화를 홍보하거나 도민에게 혜택을 줄 수 있겠냐는 것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이번 기회에 관리권을 경주시에 넘기면서 예산 등 부담에서도 손을 떼려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이와 관련, 경북도는 문화엑스포를 비롯한 산하 공공기관들을 통합하는 형태 외에도, 관리 권한을 타 기관에 넘기는 '개방' 방식이나 기능 조정 등 다양한 방안을 고려해왔다는 입장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이달 말까지 전문가 등을 포함한 실국별 태스크포스 구성을 마치고 내달부터 구조개혁 타당성에 대한 세부 검토와 의회, 주민의견 청취 등 절차를 밟겠다. 구조개혁 과정에는 도민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