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소득 하위 10% 취약층, 코로나 사망 위험 2배

내원 환자 10만 명당 44.3명꼴…기저질환 관리·소극적 치료 영향

코로나19 확산세가 계속되고 있는 24일 오전 개소를 하루 앞둔 서울역 중구보건소 임시선별검사소에서 준비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확산세가 계속되고 있는 24일 오전 개소를 하루 앞둔 서울역 중구보건소 임시선별검사소에서 준비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소득 하위 10% 취약계층이 코로나19에 걸려 사망할 위험이 다른 소득분위의 2배 이상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김회재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 24일 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코로나19 상병 의료기관 내원환자 및 사망자 현황'(2020년 1월 20일 ~ 올해 5월 31일)자료에 따르면, 소득 하위 10%(건보료 1분위)에 해당하는 코로나19 내원환자 중 30일 이내 사망자 수는 199명으로, 내원환자 10만 명당 사망자 수는 44.3명이었다. 이는 1∼10분위 중 가장 높은 수치로 두 번째로 사망자가 많은 2분위(27명)보다도 월등한 수준이다.

10만 명당 사망자 수는 3분위 19.8명, 4분위 16.6명, 5분위 18.5명으로 나타났다. 소득이 중간 이상인 6분위(15.7명), 7분위(14.0명), 8분위(15.7명), 9분위(13.9명)의 경우 사망률이 더욱 낮았다.

광범위한 코로나19 유행 속에서 소득이 가장 낮은 취약계층의 사망 위험이 유독 높았던 셈이다. 취약계층의 평소 건강 상태나 기저질환 등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분석된다. 생활상의 여건 때문에 의료기관 내원 자체를 미루거나 검사·치료에 적극적으로 나설 수 없었을 가능성도 있다.

김 의원은 "저소득층에게 코로나19 재앙은 더욱 크게 다가왔다"며 "국가가 책무를 방임하고 진단, 격리, 치료 등 코로나19 대응 전 단계에서의 지원을 강화하지 않는다면 결국 취약계층에게 코로나19 사태는 '각자도생의 장'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분석은 건강보험에 가입한 직장가입자 중 '바이러스가 확인된 코로나바이러스질환2019'(U07.1) 상병 코드로 청구한 환자와 최초 청구 이후 30일 이내 사망자 현황을 집계한 것이다. 실제 코로나19 환자 및 사망자수와는 차이가 있다. 코로나19로 확진됐으나 의료이용이 없거나 의료기관에서 'U07.1'로 청구하지 않은 경우는 환자에 포함되지 않았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