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국내 원자력 산업의 경쟁력이 탈원전 정책 시행 이전과 비교하면 30% 이상 하락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이달 7∼22일 주요 70개 원자력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31개사 응답)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5일 밝혔다.
조사 결과 국내 원전 산업의 경쟁력은 탈원전 이전 대비 65%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구체적으로 응답 기업의 절반 이상(51.6%)은 국내 원전 산업의 경쟁력이 30∼40% 하락했다고 답했으며 이어 20∼30% 하락(22.6%), 10∼20% 하락(6.5%), 기타(19.4%) 등의 순이었다.
기업들은 또 기존 원전 산업의 경쟁력이 복구되는 데까지 약 3.9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했다.
세부적인 예상 시점은 2∼4년(51.6%), 4∼6년(38.7%), 6∼8년(6.5%), 2년 미만(3.2%) 순으로 응답률이 높았다.
주요 애로 사항으로는 '전문인력 부족' 답변이 35.7%로 가장 많았다. 실제 한국원자력산업협회에 따르면 2021년 원자력 관련 학과 재학생 수는 2천165명으로 2017년(2천777명) 대비 22.0% 감소했다.
전문인력 다음으로는 '운영자금 부족'(30.4%), '협력업체 사업 포기로 인한 공급망 악화'(17.9%), '차세대 기술확보 수준 미흡'(12.5%) 등이 꼽혔다.
직전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인해 영향받은 분야로는 '사업성 저하로 인한 수익성 악화'(54.8%), '인력 이탈로 인한 전문성 약화'(29.0%), '연구·개발(R&D) 중단 및 기술 수준 저하'(9.7%), '밸류체인 경쟁력 약화'(3.2%) 순으로 나타났다.
원전 산업 경쟁력 회복을 위한 가장 시급한 과제로는 '조속한 일감 공급'(46.9%)을 꼽은 기업이 가장 많았고 이어 '원전 착공 관련 인·허가 규제 개선'(28.1%), '금융부담 완화'(17.2%), '한계기업 지원'(7.8%) 등의 답변이 뒤따랐다.
전경련 관계자는 "지난 7월 유럽연합(EU)의 택소노미(녹색분류체계)에서 원전이 친환경 에너지로 분류된 이후 한국판 K-택소노미에도 원전의 친환경 에너지 포함이 확실시되고 있다"며 "글로벌 원전 산업의 높은 성장세로 수출 기회가 많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원전 생태계를 조속히 회복시키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