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산코발트광산 희생자 유해발굴 현장의 흙포대, 처리될까?

진살화해위와 경산코발트광산유족회 흙더미 처리 간담회에서 의견 접근

1950년 한국전쟁 당시 우리 군과 경찰에 의해 민간인 수천 명이 재판도 없이 학살된 곳인 경산 코발트 폐광산에 10년 만에 유해 발굴이 재개돼 다시 불을 밝혔다. 경산 코발트광산 유족회 최승호 이사가 10년 전 발굴이 중단돼 쌓아둔 유해가 섞인 흙자루를 살펴보고 있다. 김태형 선임기자 thk@imaeil.com
1950년 한국전쟁 당시 우리 군과 경찰에 의해 민간인 수천 명이 재판도 없이 학살된 곳인 경산 코발트 폐광산에 10년 만에 유해 발굴이 재개돼 다시 불을 밝혔다. 경산 코발트광산 유족회 최승호 이사가 10년 전 발굴이 중단돼 쌓아둔 유해가 섞인 흙자루를 살펴보고 있다. 김태형 선임기자 thk@imaeil.com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이하 진실화해위)가 한국전쟁 당시 군경에 의해 처형된 경산코발트광산 민간인 희생 현장 유해발굴 과정에 나온 10년 넘게 쌓아 둔 흙포대를 유해 혼입 여부를 확인한 후 처리할 방침이다.

진실화해위 송상교 사무처장과 경산코발트광산유족회(이하 유족회) 나정태 회장, 이사 등은 24일 오후 경산코발트광산유족회 사무실에서 경산코발트광산 수평2굴 광재(흙포대) 처리방안에 대한 간담회를 가졌다.

진실화해위 송상교 사무처장과 경산코발트광산유족회 나정태 회장 및 이사들이 24일 오후 경산코발트광산 수평2굴 흙포대 처리방안에 대한 간담회를 가졌다. 김진만 기자
진실화해위 송상교 사무처장과 경산코발트광산유족회 나정태 회장 및 이사들이 24일 오후 경산코발트광산 수평2굴 흙포대 처리방안에 대한 간담회를 가졌다. 김진만 기자

유족회는 이 자리에서 경산코발트광산 갱도 내 추가 유해발굴이 예산 등 여러 사정으로 여의치 않다면 진실화해위가 지난 2007~2009년 1~3차 수평2굴 유해발굴 과정에서 나온 흙포대 1천여개(약 20톤)에 대해 혼입 여부를 확인한 후 절차에 따라 조속히 처리해 줄 것을 요구했다.

이에 진실화해위 송상교 사무처장은 "유족회의 건의를 빠른 시간내 검토해서 알려 주겠다"면서 "이 흙포대 중 적정 샘플을 채취해 유해 혼입 여부를 확인하는 등 찜찜하지 않게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답변했다.

이날 유족회는 ▷흙포대와 함께 외부로 반출될 돌더미를 유족회와 협의해 추모의 의미를 담은 돌탑형식으로 쌓아 보존하고 ▷이 광산이 있는 평산동 산652-9번지 기획재정부 소유 임야에 수평2굴에서 수직1굴로 가는 순례길 조성 ▷학살 현장인 수직1굴을 보호하고 있는 천막 교체와 주변에 순례객들을 위한 의자 등 관련시설 설치 등을 요구했다.

유족회는 특히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학살 현장일 뿐만 아니라 일제의 지하자원수탈, 강제동원 현장인 경산코발트광산의 역사적 교훈을 후세에 전하기 위해 관련 자료 보관 및 전시, 순례객 안내를 위한 소규모 시설물을 설치하고 주변 일대를 기억의 공간(역사평화공원)으로 조성해줄 것을 요청했다.

이에 진실화해위 송상교 사무처장은 "진실화해위에서는 주로 진상규명 조사와 일부 발굴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흙더미 처리 관련은 우리 위원회에서 처리하고 나머지 요구사항은 행정안전부, 경상북도, 경산시에 각각 권고하거나 협조를 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산코발트광산 민간인 희생사건은 한국전쟁 때인 1950년 7~8월 경산, 청도, 대구, 영동 등지에서 끌려온 국민보도연맹원 및 요시찰 대상자들과 대구형무소에 수감돼 있던 재소자 중 상당수가 군경에 의해 처형된 것으로, 1기 진실화해위 보고서에는 1천800여명, 유족회에서는 3천500여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2007년부터 3년간 이곳에서 유해 520구를 발굴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