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올 것이 왔다…美 두달 연속 '자이언트 스텝' 한국 금융시장서 외국인 대거 빠질까

미 기준금리 2.25~2.50%…2년 반 만에 한국 앞질러

15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 입회장에서 트레이더들이 장내 스크린에 나오는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기자회견을 주시하고 있다. 이날 뉴욕증시는 연준이 28년 만에 0.75%포인트라는 큰 폭의 금리 인상(자이언트 스텝)을 단행했음에도 상승했다. 연준과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인플레이션을 억제할 것이라는 강력한 의지를 드러낸 점에 시장이 긍정적으로 반응한 것으로 풀이된다. 연합뉴스
15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 입회장에서 트레이더들이 장내 스크린에 나오는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기자회견을 주시하고 있다. 이날 뉴욕증시는 연준이 28년 만에 0.75%포인트라는 큰 폭의 금리 인상(자이언트 스텝)을 단행했음에도 상승했다. 연준과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인플레이션을 억제할 것이라는 강력한 의지를 드러낸 점에 시장이 긍정적으로 반응한 것으로 풀이된다. 연합뉴스

미국이 두달 연속 기준금리를 한번에 0.75%포인트(p) 올리는 '자이언트 스텝'을 단행했다. 미국 기준금리가 기존 1.50~1.75%에서 2.25~2.50% 수준으로 오르면서 2020년 2월 이후 약 2년 반 만에 한국 기준금리(2.25%)보다 높아지게 됐다.

27일(현지시각) 뉴욕타임스(NYT)와 CNN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연준은 이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뒤 성명을 내고 기준금리를 0.75%p 인상한다고 밝혔다. 연준은 앞서 지난달에도 0.75%p 금리를 올리며 '자이언트 스텝'의 첫발을 뗐다.

연준이 0.75%p 금리 인상을 단행한 것은 1994년 이후 28년 만이었다.이어 연준은 이례적으로 이번 달에도 0.75%p 금리를 올렸다. 연준의 다음 FOMC 회의는 오는 9월에 예정돼 있다.

연준은 성명에서 "소비와 생산 지표가 둔화에도 노동 시장은 튼튼하고 실업률은 낮다"면서도 "공급망 문제와 팬데믹의 영향, 에너지와 식량 가격 상승에 따른 전방위 압박에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높다"고 지적했다. 이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인도적·경제적 차원에서 심대한 위기"라며 "인플레이션 위험에 고도로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연준은 이와 함께 "2%대 물가 상승률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금리 인상을 결정했으며, 추가적인 금리 인상이 적절할 것으로 전망한다"며 대차대조표 축소 역시 애초 계획대로 진행하는 등 양적 긴축을 지속하겠다는 방침도 확인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별도 기자회견에서 "물가 상승률이 너무 높다"며 "다음 위원회 회의에서도 큰 폭의 금리 인상이 적절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언젠간 금리 인상의 속도를 늦추는 게 적절해질 것 같다"고 선을 그었다. 경기침체 우려에 대해 파월 의장은 "경제가 현재 침체 국면에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했다.

미국 금리인상으로 외국인 자금이 한국 금융시장에서 대거 빠져나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외국인 투자자 입장에서 금리가 더 낮은 한국에서 돈을 굴릴 유인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다만 한미 기준금리 역전이 이미 예견된 시나리오였던 만큼 당장 큰 충격은 없을 것이라는 의견도 많다. 금리 역전으로 외국인 자금 유입이 줄어들 수는 있겠지만, 심각한 자본유출은 없을 것이라는 이야기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