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비대위 전환 급물살 탄 與, 당헌당규 변경·인선 '첩첩산중'

윤리위, 이준석 대표 '사고'로 규정…비대위 성격 규정·비대위원장 인선 만만치 않아
조기 전대 준비하는 위원장 인선…내부 선출·외부 영입 등 고민

국민의힘 권성동 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지난 2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최고위원 간담회를 마친 뒤 차량에 타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권성동 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지난 2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최고위원 간담회를 마친 뒤 차량에 타고 있다. 연합뉴스

권성동 국민의힘 당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가 지난달 31일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 체제로 당을 정비하겠다는 의중을 밝혔지만 넘어야 할 산이 적지 않다.

당장 비대위 체제로 전환할 명분을 찾기가 쉽지 않다. 자신이 당 대표 권한대행을 맡으면서 중앙당 윤리위원회의 중징계로 당원권이 6개월 정지된 이준석 대표의 상황을 '사고'로 규정했기 때문이다.

이준석계인 김용태 최고위원은 이날 성명을 통해 "당헌당규를 아무리 살펴봐도 비대위 체제로의 전환을 뒷받침할 명분과 근거를 찾아볼 수 없다"며 "'비대위원장은 당 대표 또는 당 대표 권한대행이 임명한다'는 당규가 있는데 이는 '비대위로의 전환은 당 대표 궐위 시에만 가능하다'는 해석 하에 만들어진 것으로 지금은 당 대표 사고 상황이기 때문에 당 대표 직무대행 체제에서 비대위원장을 임명할 권한도 명분도 없다"고 반발했다.

또한 국민의힘 당헌 29조 2항(직무대행)은 '당 대표가 사고 등으로 인하여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에는 원내대표, 최고위원 중 최고위원 선거 득표순으로 그 직무를 대행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권성동 의원은 원내대표였기 때문에 당 대표 직무대행을 맡을 수 있었다. 따라서 원내대표 자리는 유지한 채 당 대표 직무대행만 그만 두는 것에 대한 내부 반발이 적지 않다.

국민의힘이 현재 이른바 '윤핵관'(윤석열 대통령 측 핵심 관계자) 천하인 것이 현실이지만 여당의 당무는 최소한의 절차적 정당성을 갖춰야 하기 때문에 무턱대고 밀어붙일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

아울러 비대위원장 인선도 간단치 않은 숙제다. 당내 인사에게 맡길지, 외부 인사에게 맡 지부터가 쉽지 않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여당이 비대위 체제로 전환하는 원인을 생각하면 외부 인사를 영입해 당 쇄신작업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을 국민에게 보여야 하지만 현직 대통령이 임기 초반을 달리고 있고 조기 전당대회 개최를 요구하는 내부 목소리도 적지 않은 점을 고려하면 당내 인사가 적합하다는 주장도 설득력 있다"고 말했다.

나아가 당 안팎 인사 가운데 누가 비대위원장 후보로 주목을 받더라도 차기 전당대회 출마를 염두에 둔 당권주자들 사이에서 중립성을 인정받아야 하는 과정도 남아 있다. 자칫 전당대회를 시작하기도 전부터 '기울어진 운동장' 시비가 붙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비대위원장 인선 문제는 자연스럽게 비대위의 성격 논란과 연결될 수밖에 없다. 비대위가 총체적 위기에 처한 여당의 체질을 개선하는 역할을 맡는다면 충분한 시간을 갖고 혁신이미지가 강한 외부인사가 '집도의'를 맡는 것이 순리지만 차기 전당대회를 준비하는 관리형 비대위라면 내부에서 중립성을 검증받은 인사가 더 적합하기 때문이다.

정치권 관계자는 "현직 대통령이 임기 중 자신의 소신과 공약을 국정에 가장 잘 반영할 수 있는 시기(임기 초반)에 여당 비대위원장과 국민적 관심을 나눠가져야 한다는 점에서 외부 인사 발탁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