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한 집안의 아이라도 이른바 '부자 동네'의 아이들과 어울린다면 성인이 됐을 때 더 많은 소득을 올릴 확률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는 과학 전문 주간지인 네이처지에 게재된 논문을 인용해 "부유층과 빈민층의 우정이 빈곤을 줄이는 열쇠가 된다"고 보도했다.
해당 논문에 따르면 저소득층 어린이라도 친구의 70% 이상이 고소득층 동네에서 자란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성인이 됐을 때 소득이 약 20%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논문은 하버드대, 뉴욕대 등의 연구진이 미국의 25~44세 페이스북 계정 7천220만개와 이들의 친구 관계 210억 건을 다각도로 분석해 지역별·개인별 소득을 추정한 결과다.
연구팀은 미국 전역의 소득과 계층 이동성을 분석하면서, 한 가지 사례로 중위 소득이 비슷한 미국 조지아주 콘리 마을과 미네소타주의 윈스테드 마을을 비교했다.
콘리 마을은 저소득층에 머문 반면 윈스테드 마을은 저소득층의 빈곤 탈출 비율이 높았다. 연구진은 두 마을의 결정적인 차이가 '사회경제적 지위가 다른 사람들 간의 활발한 교류'로 꼽았다.
뉴욕타임스는 연구를 증명할 한 가지 사례를 덧붙이기도 했다.
지마리엘 보위는 저소득층 가정의 아이로 태어났지만, 현재 형사전문 변호사로 활동하고 있다. 그는 "부유한 가정의 친구들과 어울리면서 친구들의 사고방식을 이해했고, 이 경험이 중요한 차이를 만들었다고 확신한다"고 했다.
연구를 주도한 라지 체티 하버드대 경제학 교수는 "계층 간 경계선을 넘나들며 서로 어울리는 지역에서 자라난 어린이는 나중에 커서 더 좋은 결과를 얻고, 빈곤에서 벗어날 가능성이 더 크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