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금수저 친구 70% 이상, 부자동네서 자라면 소득 오른다"

미국 뉴저지의 한 주택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 없음. 연합뉴스
미국 뉴저지의 한 주택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 없음. 연합뉴스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났더라도 부유한 친구들과 자주 어울린다면 성인이 됐을 때 소득이 높아질 가능성이 커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일(현지시간) 네이처지에 게재된 논문에 따르면 저소득층 어린이라도 친구의 70% 이상이 고소득층인 동네에서 자란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성인이 됐을 때 소득이 약 20%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미국의 25∼44세 페이스북 계정 7천220만 개와 이들의 친구 관계 210억 건을 분석해 이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들은 조사 대상자의 지역 납세 기록, 익명화된 페이스북 계정의 우편번호, 성별, 대학, 이용중인 휴대전화의 소비자가격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지역별·개인별 소득을 추산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이번 연구 결과가 각 지역의 소득 계층 이동, 이른바 '사회적 사다리'를 활성화하는 중요한 요인이 무엇인지 밝혀냈다는 데에서 의미가 있다고 보도했다.

예를 들어 조지아주 콘리 마을과 미네소타주의 윈스테드 마을은 중위소득이 연 5만5천 달러 수준으로 비슷하지만 콘리는 저소득층이 저소득층에 머물 확률이 높은 반면, 윈스테드는 저소득층의 빈곤 탈출 경향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두 도시의 차이는 '사회경제적 지위가 다른 사람들 간의 활발한 교류'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고등학교 정보·부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SNS 계정을 활용해 고등학교 시절 저소득층 자녀와 고소득층 자녀의 교류가 활발할수록 계층 이동이 활발하다는 사실 또한 확인했다.

반면 각 지역의 인종 구성, 빈곤율, 학교 교육 수준 등은 계층 이동을 촉진하는 데 별다른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주도한 라지 체티 하버드대 경제학 교수는 "계층간 경계선을 넘나들며 서로 어울리는 지역에서 자라난 어린이는 나중에 커서 더 좋은 결과를 얻고, 빈곤에서 벗어날 가능성이 더 크다"고 연구의 의미를 설명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