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북 경주의 쓰레기소각장 폐쇄로 '생활쓰레기' 대란을 일으킨 경주환경에너지의 실소유주 서희건설에 대한 지역 여론의 비판이 거세다.
서희건설은 2013년부터 경주시 천군동에 국비와 시비, 민자 등 774억원을 들여 지은 생활쓰레기소각장을 운영(BTO방식)해 왔다.
당시 서희건설(51%)은 동부건설(39%)·동일종합건설(10%)과 함께 389억원을 공동출자해 만든 경주환경에너지를 통해 소각장 운영에 나섰고 경주시와 2028년까지 15년 계약을 맺었다.
하지만 경주시는 "서희건설이 2019년부터 소각장 대수선비 30여억원을 투자하지 않으면서 파행운영이 시작됐다"고 주장한다.
소각장 수리를 제대로 하지 않아 가동 중단이 잦아지면서 지난해에는 가동 일수가 175일까지 떨어졌고, 경주시가 지급하는 사용료도 급감, 수입 구조는 악화됐다. 여기에는 지난해 주40시간 근무제로 인한 임금 감소에 반발한 노조의 잦은 파업도 한몫했다.
그럼에도 서희건설 측이 소각장 정상화 대신 매각에만 치중, 정상 운영이 되지 않자 경주시는 지난달 22일 계약해지를 통보했다.
7일 현재 이곳에는 생활쓰레기 10만여톤(t)이 산더미처럼 쌓여 악취를 풍기고 있다.
이 같은 쓰레기 대란에 그동안 감시·감독을 소홀히 한 경주시와 시의회의 책임론도 제기되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경주시 간부들이 퇴직 후 소각장에 취업해 서희건설의 이익을 대변하는가 하면 파행 운영 시에도 시와 시의회가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않은 잘못이 매우 크다"고 지적했다.
이런 가운데 서희건설은 현곡면 오류·금장리 자연녹지 5만6천여㎡를 일반주거지역으로 변경, 아파트1천100여 가구 신축안을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되면서 비판의 수위가 높아지고 있다.

경주시 관계자는 "12년 전 경주 출신 이봉관 회장의 서희건설이 '향토기업'이라는 이유로 소각장 단독 사업자로 선정됐다"며 "하지만 지역민의 뜻과는 달리 운영은 제대로 하지 않고 회사를 비싸게 매각하려다 실패, 많은 원성을 듣고 있다"고 했다.
이진락 시의회 문화도시위원장은 "기업 도덕성 문제와는 별도로 당시 시 집행부와 시의회 책임도 있다"고 했고, 시민단체 심정보 시민총회위원장은 "시민을 기만한 서희건설 퇴출운동을 벌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경주환경에너지 측은 "현재 회사에 책임 있는 해명을 할 임직원이 없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