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벼랑 끝 몰린 이준석 국힘 대표의 최종 선택 카드는?

9일 전국위서 당원 뜻 확인 후 대승적 수용결단 내릴 가능성
비대위 전환 찬성율과 퇴로 마련 여부가 관건
법정 싸움으로 '연장전' 펼칠 경우 여권 공멸 우려 커
이 대표로서도 부담, 탈당 후 신당 창당 가능성은 거의 없어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왼쪽)와 서병수 상임전국위원회 의장이 지난 5일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4차 상임전국위원회에서 인사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왼쪽)와 서병수 상임전국위원회 의장이 지난 5일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4차 상임전국위원회에서 인사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자동 해임' 위기에 몰린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의 최종 선택에 정치권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대표가 어떻게 대응 방향을 정하느냐에 따라 여당은 물론 정치권 전체가 술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당내에선 이 대표가 9일 열릴 전국위원회에서 당원들의 뜻을 확인한 이후 그 결정을 수용하는 대승적 결단을 내릴 가능성에 무게를 싣고 있다. 관건은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의 전환을 묻는 안건(당헌 개정안)의 표결 결과와 이 대표의 명예로운 퇴진을 도울 퇴로 마련 여부다.

전국위를 하루 앞둔 8일 이 대표 측은 전당대회에서 선출된 당수(黨首)를 힘으로 끌어내리려는 시도를 좌시하지 않겠다며 전의를 불태웠다. 이 대표의 최측근인 김용태 청년최고위원은 MBC 라디오에 출연해 "이 대표는 (가처분 신청을) 낼 것 같고, 저는 아직 결정 못 했다"며 "어떤 게 당의 혼란을 수습하는 데 더 좋을지에 대해 (고민하고) 내일 중으로 결정하려 한다"고 말했다.

이 대표를 지지하는 당원들로 구성된 '국민의힘 바로세우기'도 여의도 한 카페에서 토론회를 열어 세를 과시했다. 전국위 표결에 앞서 비대위 전환의 부당함을 알리려는 여론전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당내에선 새 정부의 성공을 위해선 이 대표가 선당후사의 결단을 내려야한다는 주문이 이어지고 있다. 정미경 최고위원은 "여기서 (이) 대표가 조금 더 나아가면 당이 더 혼란스럽고 위험해진다"고 했고, 조경태 의원은 "(이 대표가) 중징계를 받지 않았나. 그러면 당연히 스스로 물러나는 용기가 필요한데 그런 점이 상당히 아쉽다"며 자진 사퇴를 거론했다.

당내에선 비대위 전환 여부를 묻는 표결에서 찬성 의견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이 대표가 명예롭게 물러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경우 꼬인 매듭이 의외로 쉽게 풀릴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비대위 전환을 묻는 표결에서 찬성 의견이 대거 나오고 이른바 '윤핵관' 측에서 이 대표 측근들과 지지자들이 수긍할 수 있는 모양새로 퇴로를 열어주는 방식이 현재로선 당이 내홍에서 빠져나갈 수 있는 최선"이라고 말했다.

여권에선 이 대표가 법정 싸움으로 '연장전'을 시도할 경우 가뜩이나 지지율 부진에 허덕이고 있는 새 정부가 집권 초반 국정 운영동력을 완전히 상실하게 되고, 이 대표도 미래를 기약하기 힘들어지면서 여권이 공멸할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한편 이 대표가 최악의 상황에 몰리더라도 자충수가 될 수 있는 '신당 창당' 카드는 꺼내들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보수 분열의 원흉이라는 낙인만큼은 피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이 대표는 앞으로도 이른바 '꼰대정치'의 대척점에서 몸집을 키워갈 공산이 크다"며 "이 대표가 독자적으로 당을 꾸리기에는 지지층도 너무 얇고 재정적 부담도 감당하지 못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