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김장호 구미시장 "제3의 대안, 해평취수원을 상류로 옮기면 대구·구미·상주 윈윈"

'대구 취수원 다변화' 갈등 국면 제3의 길 제시…"비용 최소화, 상주와도 취수원 공유"

경북 구미시청 전경. 구미시 제공
경북 구미시청 전경. 구미시 제공
김장호 구미시장. 구미시 제공
김장호 구미시장. 구미시 제공

구미시는 지난 4월 대구시-경북도-구미서-환경부 협정은 절차와 합의 과정을 무시한 '형식적 졸속 합의'이므로 재검토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9일 김장호 구미시장은 "이 협정은 상수원보호구역 지정으로 구미지역의 피해는 영원한데 보상에 대해서도 두루뭉술한 허점투성이"라며 협정 당시 구미시민·시의회 등 동의를 받지 않은 점 , 최적의 대구·구미 상생 방안을 검토하지 않은 점, 협정 주체가 모두 바뀌어 실질적 실효성이 없다는 이유를 든다.

그러면서 '해평취수원의 상류 이전'이라는 제3의 대안을 내놨다. 김 시장은 "해평취수원을 김천에서 흘러오는 감천지류의 상류로 이전하면 대구와 물을 나누면서 비용도 최소화할 수 있다"며 "이는 대구와 윈윈(win-win)할 수 있는 대안이다"고 말했다.

김 시장에 따르면, 취수원을 상류로 옮기면 경북 상주에서도 취수원을 함께 쓸 수 있어 현재 묶여있는 상주의 상수원 보호구역이 해제된다.

아울러 구미의 상수원 보호구역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추후 통합신공항 건설로 물 수요가 증가할 의성도 함께 혜택을 볼 수 있다는 판단이다.

김 시장은 홍준표 대구시장이 '언어도단' 등 특유의 직설적 화법으로 구미시를 직격한 데 대해 "소통을 저해할 수 있고 감정적 대결로는 해결의 실마리를 더욱 꼬이게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8일 홍 시장은 "낙동강 물이 오염된 근본 원인은 구미공업단지가 애초에 무방류 시스템을 도입하지 않은 탓이다. 하류의 물을 오염시켜놓고 상류에 상수원을 달라고 하니까 '된다, 안 된다'고 한다"며 김 시장에게 강한 유감을 나타냈다.

이에 대해 김 시장은 "오로지 대구시민 입장에서 구미시가 잘못하고 있다는 취지의 발언은 구미시장 이전에 한 명의 구미시민으로 동의하기 어렵다"면서 "센 발언은 당사자에게는 '사이다 발언'이 될 수 있지만 상대에게는 깊은 상처로 남게 마련"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도 대구 취수원 다변화 문제가 또다시 해묵은 논쟁거리가 되는 일은 경계했다.

김 시장은 "물은 모두의 공유자원이며 대구, 구미시민 모두가 깨끗한 물을 마셔야한다는 것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다만 구미시민들의 경제적·심리적·정서적 합의를 통해 원만히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설명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