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경한 시인의 세 번째 시집이다. 시를 대하는 시인의 자세를 엿볼 수 있는 시 54편을 엮었다. 인간을 고통의 심연으로 빠트리는 유한성과 결핍을 시로 풀어내며 영원을 꿈꾼다.
박경한 시인의 작품은 정직하다고 말할 수 있다. 도전적인 '젊은 시'라기보다 고전적이라 표현할 만하다. 하지만 그만큼 직관적으로 위안과 재미를 전한다. 삶과 죽음 사이 펼쳐진 온갖 사건들을 건져 올려 시적 재료로 사용했기 때문이다. 김수상 시인은 이에 대해 "시가 안 읽히는 시대에 술술 잘 읽히는 시를 쓰는 시인이 있다는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라 말한다.
산밭에서의 일상, 어머니, 죽음에 대한 성찰이 담긴 50여 편의 시는 시의 본질에 대한 시인의 생각을 잘 드러낸다. "시의 본질은 고통이다. 고통에 대한 기록이 시이다. 사람은 오기도 하고, 울기도 하고, 가기도 한다. 우리는 느리지만, 확실하게 지금도 죽어가고 있다. 시는 순간 속에서 영원을 꿈꾸는 것이다." 96쪽, 1만원.
댓글 많은 뉴스
'보수 지지율 1위' 김문수 대선 출마…오늘 국무회의 직후 장관직 사퇴 [영상]
대구시장·경북도지사 첫 동반 대선 출사표…TK 민심 어디로
김부선 "尹 참 안됐다…집안에 여자가 잘 들어와야 하는데"
황교안 대선 출마 예고 "국민의힘 탈당한다"
"국힘, 이번 대선에 책임…대선 후보 내지 마라" 野 공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