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육사 친필편지·엽서 '국가등록문화재' 된다

문화재청, 친척·친구에게 보낸 편지와 엽서 등록예고

이육사가 친족 이상하에게 보낸 친필 한문 편지. 문화재청 제공
이육사가 친족 이상하에게 보낸 친필 한문 편지. 문화재청 제공

항일 민족시인 이육사(1904~1944)가 쓴 편지와 엽서가 문화재가 된다.

문화재청은 11일 '이육사 친필 편지 및 엽서'와 '서울 구 천도교 중앙총부 본관'을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 예고했다.

이와 함께 '일제강점기 이충무공 묘소 보존과 현충사 중건 민족성금 편지 및 자료'는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했다.

이번에 등록 예고된 '이육사 친필 편지 및 엽서'는 시인이자 독립운동가인 이육사가 일상적인 안부, 생활고에 대한 걱정, 건강을 기원하는 내용 등 1930년대 당시 근황을 담아 친척, 친구에게 보낸 친필 편지와 엽서다.

이육사가 시인 신응식(신석초)에게 보낸 엽서. 문화재청 제공
이육사가 시인 신응식(신석초)에게 보낸 엽서. 문화재청 제공

이육사가 친족인 이상하에게 보낸 한문으로 작성한 친필 편지를 통해서는 중외일보 대구지국 근무시절 당시 그가 겪었던 생활형편을 짐작할 수 있다.

시인 신응식(신석초)에게 보낸 엽서에는 우정과 고향을 자주 찾지 못하는 아쉬움, 친족인 이원봉에게 보낸 엽서에는 친척간의 정을 그리워하는 내용을 담고 있어 이육사의 인간적인 면을 파악할 수 있는 친필자료로 귀중한 가치를 지닌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문화재청이 함께 등록예고한 '서울 구 천도교 중앙총부 본관'은 1921년 천도교 중앙대교당(서울 종로구)과 함께 건립돼 일제강점기에 독립운동과 사회계몽 활동이 이루어진 장소이다.

당대 건축술의 한계와 우리나라 근·현대사의 민족종교 활동 및 민족운동의 역사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역사성이 충분히 인정되어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육사가 친족인 이원봉에게 보낸 엽서. 문화재청 제공
이육사가 친족인 이원봉에게 보낸 엽서. 문화재청 제공

이 밖에 문화재로 등록된 '일제강점기 이충무공 묘소 보존과 현충사 중건 민족성금 편지 및 자료'는 1931년 5월 충남 아산에 있는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묘소와 위토가 경매로 팔릴 위기에 처하자, 국내와 해외동포로부터 민족 성금이 모금되는 과정에서 작성된 편지와 기록물이다.

문화재청은 등록 예고된 '이육사 친필 편지 및 엽서'와 '서울 구 천도교 중앙총부 본관'에 대해서 30일간의 예고기간을 통해 의견을 수렴하고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통해 문화재로 최종 등록될 예정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