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에 내린 기록적 폭우로 지하철 역사에도 침수 피해가 발생한 가운데 대구 지하철 역사의 침수 방지 대책에 관심이 쏠린다.
11일 대구도시철도공사에 따르면 대구에서는 2009년 7월 4일 40분간 29㎜의 비가 쏟아지며 2호선 계명대역에서 출입구와 엘리베이터를 통해 노면수가 유입돼 2개 열차가 무정차 통과하는 사태가 있었다. 이후로는 노면수가 유입되는 사고는 없었다.
다만 집중호우 시 인근 공사장 등에서 지하로 물이 유입되는 사고가 이어졌다. 2012년 7월과 2015년 6월, 2015년 8월에는 각각 서문시장역, 각산역, 신남역 인근 공사장에서 배수관·하수관 등이 파손되거나 맨홀이 넘쳐 차수벽 틈새를 통해 역사 환기실, 대합실, 승강장에 빗물이 유입된 사례가 있었다.
이에 따라 대구도시철도공사는 지난 2010년 이후 올해까지 침수 방지 대책을 꾸준히 추진했다.
침수 위험이 있는 대구의 저지대 역사는 1호선 대곡, 상인, 교대, 명덕, 반월당, 중앙로, 신천, 해안, 용계, 율하, 신기, 반야월, 안심 13개역과 2호선 계명대, 반고개, 신남, 용산, 임당 5개역이다.
대구도시철도공사는 2010년부터 2018년까지 이들 18개 역사 34개 출입구 계단 높이를 50㎝ 이상 인상했다.
기존 20㎝ 높이로 설치됐던 11개역 19곳의 지면형 환기구 차수벽은 2010~2012년 60㎝까지 높였다. 60개 역 270개 출입구와 43개 역 72개 엘리베이터에는 차수판을 구비해 갑작스런 폭우에도 대응할 수 있게 했다.
지상부 배수시설 개선도 꾸준히 추진했다. 역사가 위치한 도로 가장자리 차선에 원활한 배수를 돕는 맨홀을 뚫고 관로를 지하 깊숙이 있는 대형 하수관으로 직접 연결하는 방식이다. 2005년 서부정류장역을 시작으로 올해 대곡역까지 모두 6개역에 배수관로 275m를 신설한다.
홍승활 대구도시철도공사 사장은 "'이중삼중'의 철저한 폭우대책을 마련해 놨다. 갑작스런 폭우에 대비해 보다 세심한 시설물 보완과 철저한 점검으로 시민들이 안심하고 도시철도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