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의 전환에도 당 안팎의 혼란이 수습될 기미를 보이지 않으면서 주호영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대구 수성구갑)의 어깨가 더욱 무거워졌다.
당장 비상대책위원(비대위원)과 주요 당직자 인선 작업부터 쉽지 않다. 계파논란을 불식할 수 있는 묘안을 내놔야하기 때문이다.
소속 정당을 상대로 송사를 진행하고 있는 이준석 전 대표를 설득해야 하는 과제도 있다. 법원의 판단에 따라 주 비대위원장의 정치적 위상이 흔들리는 것은 물론 당이 헤어날 수 없는 수렁으로 빠져들 수도 있다.
여기에 국정 전반에 대한 쇄신을 통해 바닥으로 떨어진 지지율을 회복해야 하는 과제도 안고 있다.
정치권에선 새 대통령을 중심으로 당의 전열을 정비하고자 하는 현실적인 요구와 국정 전반에 대한 쇄신을 촉구하는 여론의 흐름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경륜이 절실한 시점이라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주 위원장은 11일 수해복구현장에서 봉사활동을 진행했다. 하지만 내부적으로는 비대위원 인선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 위원장은 이날 "주말까지는 인선 마무리 작업을 해야 할 것 같다. 다음 주 초쯤 돼야 (비대위원 임명을 위한) 상임전국위도 열 수 있을 것"이라고 예고했다.
관건은 '인선 내용'이다. 어떤 인사들을 비대위에 포진시키느냐에 따라 비대위 활동의 성패가 갈릴 수 있기 때문이다.
당내에선 계파색이 옅고 전문성·다양성을 가진 인사들로 비대위가 꾸려질 것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 혁신과 개혁을 상징할 수 있는 청년과 여성 등이 포함될 전망이다.
당 관계자는 "비대위원장이 '관리형 비대위'는 사양한다는 뜻을 밝힌 만큼 '무난한 인사'보다는 '당의 부족한 부분을 채워줄 수 있는 인사'들을 선호하지 않겠느냐"며 "정국 흐름을 바꿔놓을 필요도 있다는 점에서 깜짝 인사 발탁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아울러 주 위원장은 비대위 체제로 전환한 당의 결정에 반발해 효력정지 가처분신청을 한 이 전 대표를 다독여야 하는 과제도 안고 있다.
주 위원장은 "(이 대표를) 다각도로 접촉하려고 노력하고 있다"는 뜻을 밝혔으나 눈앞의 비대위원·당직 인선과 수해복구 작업 등으로 인해 실제 만남은 늦어지고 있다.

이 전 대표와 가까운 조해진 의원은 주 위원장이 직접 나서 이 대표와 소통하고 차기 전당대회 피선거권을 보장하는 방안을 '해법'의 하나로 제시하기도 했다.
다만 당내에선 이 전 대표가 자신의 선명성이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에 따라 '닥치고 공격' 기조를 보이고 있어 당분간 주 위원장과 이 전 대표의 만남은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 함께 추락한 국정지지율을 끌어올릴 수 있는 여권 전반의 쇄신작업을 주 위원장이 주도해야 한다는 주문도 나온다. 대통령실과 내각에 대한 인적쇄신 작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성난 민심을 수습해야 한다는 당부다.
정치권 관계자는 "대통령의 국정지지율이 20%대를 기록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여당이 국면전환을 주도해야 한다"며 "주 위원장도 그 부분을 잘 알고 있을 것이기 때문에 효과적인 방안을 준비하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