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이 7월까지 3개월 연속 80%대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은 6월 90%대에서 7월 80%대로 떨어졌다.
법원경매 전문기업 지지옥션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2022년 7월 경매 동향 보고서'를 발표했다. 경매 시장은 부동산 시장 전망의 선행 지표. 특히 낙찰가율은 수요자의 매수 심리를 살필 수 있는 신호로 꼽힌다.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대구의 7월 아파트 낙찰가율은 81.5%로 6월(81.3%)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5월(83.0%)에 이어 3개월 연속 80%대에 머물렀다. 경북은 5월(96.8%)에 이어 6월 91.9%, 7월 84.7%를 기록하는 등 3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전국 아파트의 7월 낙찰가율은 90.6%. 6월(93.8%)보다 3.2%포인트(p) 낮아졌다. 전국적으로도 경북과 마찬가지로 5월(94.3%) 이후 3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평균 응찰자 수도 5.8명으로 올해 들어 가장 낮았다.
경매에선 통상 매각기일 8~12개월 전에 감정이 진행된다. 현재 경매 중인 물건은 지난해하반기 감정을 진행한 게 대부분이란 뜻. 낙찰가율이 100%를 넘으면 낙찰 문건의 입찰가가 감정가보다 높다는 의미다. 경매 참가자들이 물건의 가치를 과거보다 높게 본다는 것이니 향후 부동산 시장도 긍정적일 거라고 보는 이들이 많다는 얘기다.
아파트 낙찰가율을 따졌을 때 대구는 3개월 연속 80% 대 수준, 경북은 100% 미만인 데다 3개월 연속 하락세라는 건 향후 부동산 시장 전망을 부정적으로 보는 이가 많다는 뜻이다. 전국으로 범위를 넓혀도 낙찰가율이 100% 미만에다 하락세. 국내 부동산 시장 전망이 밝지 않다는 말과 다르지 않다.
지지옥션 관계자는 "대출 규제가 지속되고 있는 데다 지난달 기준금리가 '빅스텝(한 번에 0.5%p 인상)'으로 인상되고 매매시장이 위축된 것이 경매 지표가 하락하는 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낙찰가율과 낙찰률
낙찰가율(매각가율)은 부동산 감정가 대비 낙찰된 금액의 비율. 낙찰률(매각률)은 입찰에 부쳐진 물건 중 낙찰된 물건 수의 비율을 뜻한다. 낙찰률이 50%면 전체 매물 중 절반이 낙찰됐다는 말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측 "대선 유세로 재판 빼달라"…재판부, 5월 2차례 일정 추가
중앙선관위원장 "부정선거 발생할 수 없다…결과에 승복해달라"
'보수 지지율 1위' 김문수 대선 출마…오늘 국무회의 직후 장관직 사퇴 [영상]
김문수 "깨끗한 제가 이재명 이긴다"…대선 출마 공식선언 [영상]
황교안 대선 출마 예고 "국민의힘 탈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