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 직장인 A씨(대구 수성구)는 집 얘기만 나오면 머리가 아프다. 최근에 옮겨갈 새 아파트를 분양받았지만 기존 아파트를 처분하지 못해 분양 대금을 마련할 길이 막혀서다.
A씨는 "기존 아파트를 급매로 몇 천만원 싸게 내놨는데도 팔리질 않는다. 주택 거래 시장이 완전히 죽어버렸다더니 진짜 그런 모양"이라며 "금리가 높으니 은행 대출을 더 받기도 부담스럽다. 전매가 안되니 새 아파트 분양권을 팔 수도 없다. 결국 지금 사는 아파트를 더 싸게 내놔야 할 판"이라고 하소연했다.
대구 주택 시장이 좀처럼 살아날 기미를 보이지 않으면서 분양권 전매 제한 해제 등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조정대상지역 해제 카드도 대구 주택 시장에선 '언 발에 오줌 누기'에 그쳤다. 지난달 대구 전 지역(수성구는 투기과열지구에서 해제)이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 부동산 관련 규제가 일부 완화됐으나 침체한 주택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기엔 역부족이어서다.
대구는 9개월째 아파트 값이 하락세지만 청약률은 기대 이하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올 들어 대구에서 신규 분양한 단지 19곳(8월 10일 기준) 중 1, 2순위에서 청약률이 1대 1을 넘은 곳은 화성파크드림 구수산공원과 태왕아너스더힐 정도다.
거래도 뜸하다. 일부 지역에선 분양가보다 2천~3천만원 싼 값인 '마이너스 피(P·프리미엄의 약자)' 아파트를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지만 거래가 잘 이뤄지지 않고 있다. 대구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2020년 월평균 4천283건이었는데 올해는 2020년 거래량의 23% 수준인 월평균 982건에 그치고 있다.
김성우 주택도시보증공사 주택도시금융연구원 보증연구팀 연구위원은 "미분양은 단지의 입지, 시공사의 도급 순위가 관계가 크지 않다. 그보다는 경기 변동 등 거시적 영향이 더 크다"고 했다. 시장에만 기대서는 미분양 사태를 해결하기 어렵다는 얘기다.
결국 정책적 차원에서 결단을 내려야 활로가 열린다는 주장에 힘이 실린다. 분양권 전매 제한을 해제하자는 목소리도 이 같은 분석과 궤를 같이 한다. 대구는 공급이 넘치니 투기 수요가 밀고 들어오는 부작용이 적다는 말도 따라붙는다.
이진우는 부동산자산관리연구소장은 "분양권 전매 제한 해제는 건설업계, 분양업계만 살리자는 얘기가 아니다. 급격히 경색되는 주택 경기가 지역 경제 전체를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며 "부동산 경기 하락 국면을 되돌리긴 어렵지만 연착륙을 유도해 손실을 줄이면서 활로를 모색하자는 뜻이다. 2024~2025년에라도 반등하기 위해서는 지금 무엇이든 시도해야 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측 "대선 유세로 재판 빼달라"…재판부, 5월 2차례 일정 추가
중앙선관위원장 "부정선거 발생할 수 없다…결과에 승복해달라"
'보수 지지율 1위' 김문수 대선 출마…오늘 국무회의 직후 장관직 사퇴 [영상]
김문수 "깨끗한 제가 이재명 이긴다"…대선 출마 공식선언 [영상]
황교안 대선 출마 예고 "국민의힘 탈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