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분양권 전매 제한 푼다고 대구 부동산시장 활로 찾을까?

6월 기준 미분양 주택 6천718가구로 전국 최다
6, 7월 신규 분양 단지 청약률이 평균 0.59대 1 그쳐
실제 미분양 물량은 1만~1만2천가구일 것이라 추정
"분양권 전매 제한 해제 등 특단 대책 필요" 주장 나와

대구 상공에서 바라본 시가지 아파트 모습.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매일신문DB
대구 상공에서 바라본 시가지 아파트 모습.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매일신문DB

대구 주택 시장 경기가 악화 일로다.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됐지만 분위기를 바꾸기엔 힘에 부친다. 이 때문에 분양권 전매 제한을 해제하는 등 특단의 대책이 나와야 현 상황을 타개할 희망이 보인다는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쌓여만 가는 미분양 물량, 실제 1만 가구 이상

대구 미분양 주택 물량은 전국에서 가장 많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6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대구 미분양 주택은 6천718가구에 이른다. 전국 미분양 주택(2만7천910가구)의 24%에 달하는 물량이다. 6월 주택 거래량은 1천628건으로 작년 같은 달(2천885건)보다 58.9% 감소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분양이 잘 될 리 없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과 지역 분양업계에 따르면 대구에서 6, 7월 신규 분양에 들어간 9개 단지 4천274가구의 청약률이 평균 0.59대 1에 머물렀다. 청약률이 3대 1을 기록한 화성파크드림 구수산공원을 제외하면 0.25대 1에 그치고 있다.

현재 공개된 대구시의 미분양 물량은 지난 3월 분양한 단지까지만 집계된 통계. 아직 통계에 들어가지 않은 단지는 4월부터 분양한 12개 단지 5천705가구나 된다. 전체 가구 수의 30%가 안 되는 청약자가 모두 계약을 한다 해도 미분양 물량이 대략 3천993가구에 달한다.

지역 분양업계 관계자는 "6월말까지 통계에 잡힌 미분양 물량에다 신규 미분양 물량을 더하면 미분양 가구 수는 1만 가구를 넘긴다"며 "실제 청약자의 계약 비율을 감안해 추정해보면 대구의 미분양 물량은 실제 1만2천 가구를 넘겼다는 분석도 나온다"고 했다.

미분양 물량이 1만 가구를 넘긴 건 10여 년 만의 일. 금융 위기가 닥쳤던 2008년 최고 2만5천 가구에 이르던 미분양 물량이 2010년 1만3천가구로 줄어든 이후 12년 만에 급증한 것이다. 지난달 정부가 대구 전 지역(수성구 제외)을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 부동산 관련 규제를 일부 완화했으나 차갑게 식어버린 시장엔 좀처럼 온기가 돌지 않고 있다.

지역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최근 할인 분양하는 단지와 입주 때 해약을 보장하고 계약금에 대해 이자를 제공하는 등 파격적인 조건을 내건 아파트 단지가 나오고 있어 시장의 분위기를 더 어렵게 만드는 상황"이라고 했다.

◆분양권 전매 제한 해제가 돌파구 될 수 있나

새로 분양하는 곳마다 성적이 좋지 못하니 가뜩이나 많은 미분양 물량은 더 늘고 있다. 신규 분양을 위해 청약 일정을 잡기도 쉽지 않다. 분양권 전매 제한 해제라는 강수를 둬야 할 때라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다.

대구는 광역시여서 입주자로 선정된 날로부터 3년 간 분양권 전매가 제한된다. 지역 한 건설사 관계자는 "1990년대 IMF, 2000년대 금융위기에 이어 세 번째 고비다. 주식처럼 '손절'할 수 있어야 분양 시장에 발을 디딜 텐데 지금은 전매가 불가능하니 거래가 끊겼다"고 했다.

분양 업계는 현 소유 주택을 팔고 새로 분양받은 아파트로 가려는 이들의 어려움이 크다고 지적한다. 구축 아파트나 새 아파트 중 하나를 매매해야 할 상황인데 새 아파트는 입주 때까지 전매할 수 없으니 구축 아파트를 급매물로 싸게 내놓을 수밖에 없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는 것이다.

지역 한 부동산중개업소 대표는 "이 같은 경우 분양권 전매 제한을 해제하면 분양권을 양도해 탈출구는 마련할 수 있다"며 "실수요자든, 투자자든 시장에서 움직일 여건은 만들어줘야 한다. 지금 상황에서 제한 조치를 푼다고 가격이 급등할 곳이 얼마나 되겠느냐"고 했다.

이진우 부동산자산관리연구소장은 "시장이 고사 위기다. 분양권 전매 제한 해제의 부작용을 겁낼 때가 아니다. 풀 것은 푼 뒤 나중에 문제가 생길 때 막아도 된다"며 "솔직히 외지 자금이 들어오지 않으면 이 많은 미분양 물량을 소화할 수도 없다. 현재 상황이 워낙 좋지 않으니 전매 제한을 해제해도 투기 바람이 일지는 않고 거래 심리가 좀 살아나는 정도에 그칠 것"이라고 했다.

다만 분양권 전매 제한 해제는 신중히 판단해야 할 사항이란 지적도 있다. 김대명 대구과학대 금융부동산과 교수는 "분양권 전매 제한은 투기 수요 억제가 목적이다. 전매 해제 시 분양권을 챙기려는 이들은 입주가 아니라 투자 내지 투기가 목적일 수 있다"며 "시중의 유동 자금이 혹시나 부동산 시장으로 몰리지 않을까 우려돼 제한을 풀자고 하기가 조심스럽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