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예천군 '이순신 구명 상소문' 보물 지정 추진

예천박물관 소장 '선현유적(先賢遺蹟)' 1책 단권 필사본
약포 정탁 "이순신 고문 감해 목숨 걸어 공을 세울 수 있도록 하자"

선현유적. 예천군 제공
선현유적. 예천군 제공

경북 예천군이 정유재란 때 옥에 갇힌 이순신을 구명하고자 올린 약포 정탁의 상소문 '논구이순신차(論救李舜臣箚)' 초고본을 엮은 '선현유적(先賢遺蹟)'을 국가 보물 지정을 추진한다.

17일 예천박물관에 따르면 해당 책은 표지에 선현유적이라고 기록된 1책 단권의 필사본이다.

책에는 임진왜란 당시 왜군을 물리치는데 공을 세운 통제사 이순신 장군(1545~1598) 이 1597년 체포돼 고문을 당하자 우의정이던 약포 정탁(1526∼1605)이 이순신을 구명하기 위해 직접 작성한 상소문 초고본 '논구이순신차'가 수록돼 있다.

상소문에는 "이순신의 죄는 사형을 벗어날 수 없을 만큼 극히 엄중한 것이지만, 또 다시 고문을 한다면 산다는 것을 보장하기 어려우니 고문을 감해 목숨을 걸고 공을 세울 수 있도록 하자"라는 내용이 담겨 있다.

논구이순신차에는 내용을 수정한 흔적이 여러 곳에서 나타나 상소문을 쓴 정탁의 고심을 엿볼 수 있다. 또 마지막 장에는 '만력이십오년삼월(萬曆二十五年三月)'이라고 쓰여 있어 1597년 3월 초고 작성이 이뤄진 것으로 추측된다.

예천박물관은 오는 10월 전쟁기념관에서 개최하는 임진왜란 430주년 기획전에 전시해 일반인들이 관람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앞서 예천박물관은 지난해 2월 개관 후 보유중인 '금곡서당창립문'을 비롯한 8건 14점을 보물로 지정하는데 완료했고, 11건 65점 유물은 심의 중에 있다.

김학동 예천군수는 "예천지역 충신인 약포 정탁 선생이 목숨을 걸고 이순신을 구하고자 했던 것이 지금의 성웅 이순신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며 "이러한 우국충정 정신문화가 있어 예천이 충효의 고장으로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