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주택 시장 경기가 추락을 거듭하고 있는 가운데 후속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반면 새 조치를 취하기보다 시장의 흐름에 맡겨 밑바닥을 찍고 올라오길 기다리는 게 낫다는 주장도 나온다.
◆대구 주택 시장 경기는 전국 최악 수준
한국부동산원은 최근 7월 전국주택가격동향 조사 결과를 내놨다. 주택산업연구원도 8월 아파트 입주전망지수와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를 최근 공개했다. 이처럼 주택 시장 경기를 나타내는 각종 지표를 보면 대구 상황이 특히 나쁘다는 게 드러난다.
한국부동산원의 7월 전국주택가격동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구의 7월 주택종합 매매가격지수 변동률은 -0.35%,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은 -0.55%. 두 부문 모두 세종(-0.63%, -0.76%)에 이어 두 번째로 하락 폭이 컸다.
대구 전세가도 하락세다. 7월 주택종합 전세가격지수 변동률은 -0.61%, 아파트 전세가격지수 변동률은 -0.84%였다. 매매처럼 두 부문 모두 세종(-0.90%, -1.04%)에 이어 두 번째로 하락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매물 적체 영향 등으로 대구 주택의 매매가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며 "전세 경우 신규 입주 물량의 영향이 있는 중구와 달서구 위주로 가격이 떨어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했다.

주택산업연구원의 자료를 봐도 대구 상황은 심각하다. 대구의 8월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7월보다 0.3포인트(p) 떨어진 51.7이다. 이는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나쁘다. 전국 평균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69.6으로 조사됐다. 또 8월 대구의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는 46.7로 인천(44.1)에 이어 두 번째로 좋지 않았다. 전국 평균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는 61.3이었다.
주택산업연구원 관계자는 "조정대상지역 해제와 투기과열지구 일부 해제(수성구)에도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로 인한 실효성 논란, 경기 침체 우려, 기준금리 인상 등으로 주택 시장이 위축됐다"고 했다.

◆'분양권 전매 제한 해제' Vs '바닥 치게 그냥 두자'
수치뿐 아니라 현장에서 체감하는 경기도 차갑게 식었다. '거래 절벽'이라 할 정도로 거래가 뜸한 데다 미분양 물량은 갈수록 쌓이고 있다. 6월말까지 통계에 잡힌 물량(6천718가구)에다 신규 미분양 물량을 더하면 실제 미분양 물량은 1만가구를 훌쩍 넘는다는 게 현장 전문가들의 얘기다.
이 정도면 금융위기 탓에 주택 시장 경기가 나락으로 떨어진 2008년에 비견되는 상황이란 말도 나온다. 당시 미분양 물량은 3만가구에 이르렀다. 그 여파는 지역경제에도 먹구름을 드리웠다. 대구시의 취·등록세가 2008년 5천88억원에서 2009년 4천648억원으로 440억원 줄었다. 지역 인테리어 업체, 가구업체, 이삿짐센터, 부동산중개소, 분양 업체, 광고 업체 등엔 찬바람이 불었다.
지역 한 건설사 관계자는 "당시 지역에선 부담을 이겨내지 못해 무너진 건설사만 네다섯 개였다. 업계에선 '낙동강 전선'이라 할 정도로 상황이 나빴고, 살아남기가 쉽지 않았다"며 "현재 상황은 2008년의 '데자뷔'같다. 추가 조치가 없다면 당시 상황이 재현될 수 있다"고 했다.
이 때문에 분양권 전매 제한을 해제해 거래에 숨통을 틔워주자는 말이 나온다. 송원배 대구경북부동산분석학회 이사는 "지역 주택 시장이 붕괴하면 지역경제 전반에 걸쳐 손실이 커진다"며 "1순위 청약 조건을 지역거주자에서 전국 단위 거주자로 확대, 수요를 전국으로 확대하고 전매 제한을 해제하는 등의 방법을 생각해볼 수 있겠다"고 했다.
반면 그냥 시장 상황에 맡겨두자는 주장도 있다. 하락세를 늦춰봐야 침체 기간만 길어지니 차라리 빨리 침몰하는 게 낫다는 것이다. 자금 사정이 넉넉지 않은 실수요자 입장에선 집값이 더 떨어지는 게 환영할 만한 일 아니냐는 의견도 적지 않다.
지역 한 부동산중개업소 대표는 "신규 분양 후 전매하기보다 기존의 '마피(마이너스 피)' 물건을 거래해도 되니 굳이 전매 제한 해제 조치에 목을 맬 필요가 없다"며 "집값이 바닥을 찍어야 수요도 생긴다. 아직 바닥이 아니라 생각하니 수요자가 움직이지 않는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측 "대선 유세로 재판 빼달라"…재판부, 5월 2차례 일정 추가
중앙선관위원장 "부정선거 발생할 수 없다…결과에 승복해달라"
'보수 지지율 1위' 김문수 대선 출마…오늘 국무회의 직후 장관직 사퇴 [영상]
김문수 "깨끗한 제가 이재명 이긴다"…대선 출마 공식선언 [영상]
황교안 대선 출마 예고 "국민의힘 탈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