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훈처의 광복회 특정감사에서 김원웅 전 광복회장의 새로운 의혹이 드러나 추가 고발됐다고 한다. 국가보훈처의 발표를 보면 국회 카페 수익 개인 사용 등 이미 드러난 의혹들 외에도 불투명한 비용 흐름이 눈에 띈다. 출판사업 인쇄비 과다 견적, 카페 공사비 과다 계상 등 금액 부풀리기를 비롯해 대가성 기부금 수수, 기부금 목적 외 사용 등 불투명한 기부금 활용이 고발에 포함됐다. 관련 액수를 합하면 8억 원이 넘는다고 한다.
서툰 회계 관리 탓으로 볼 수 있을지 모르나 법인의 돈을 쌈짓돈 쓰듯 한 것들을 보면 분노를 넘어 착잡한 심정을 금할 수 없다. 국가보훈처에 따르면 본인이 운영하는 약초학교 직원과 인부들의 식대, 개인용 반찬비에도 법인카드를 썼다. 심지어 목욕비, 가발 미용비 등에도 2천만 원이 넘는 돈을 쓴 것으로 조사됐다. 높은 투명성을 요구하는 단체의 수장이 보일 수 있는 행동인지 의심스럽다.
정치적 중립성과 선명성을 중시해 온 광복회가 어쩌다 이 지경이 됐는지 안타까운 심정이다. 김 전 회장 재임 시절 광복회는 정치적 논란의 중심에 스스로 올랐다. 광복절 경축식 기념사가 대표적이다. 이승만 전 대통령과 안익태 애국가 작곡가를 친일파로 거명하며 친일 청산을 주장하고 파묘까지 거론했던 2020년에 이어 지난해에도 편향된 정견을 드러낸 영상이 말썽을 빚었다. 일부에서 "독립유공자 유족이 독립운동을 한 것이 아닌 만큼 겸손하고 선열의 이름을 욕보이지 말아야 한다"라는 자중의 목소리도 나왔다.
그의 의혹을 문재인 정권이 알고도 넘겼다는 것 역시 문제다. 박민식 국가보훈처장은 "김 전 회장이 권한을 남용해 독단적, 자의적으로 운영한 것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본다. 정권의 비호를 받은 비리로 보인다"라고 주장했다. 선열들의 희생을 선양하자는 명예로운 조직이 자의적 운영으로 어떻게 변질될 수 있는지 보여 준 사례다. 실추된 광복회의 명예 회복을 위해서라도 명백히 과오를 바로잡아야 한다. 그래야 다시는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는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