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경연 "소비-투자위축 여파로 올해 경제성장률 2.4% 그칠 것"

기존 예상에서 0.1%p 하향조정

21일 농협 하나로마트 양재점을 찾은 시민들이 채소 코너를 둘러보고 있다. 최근 고온다습한 기후로 신선채소 가격이 크게 오른 가운데 폭우 피해까지 겹치면서 농작물 가격 오름세가 계속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연합뉴스
21일 농협 하나로마트 양재점을 찾은 시민들이 채소 코너를 둘러보고 있다. 최근 고온다습한 기후로 신선채소 가격이 크게 오른 가운데 폭우 피해까지 겹치면서 농작물 가격 오름세가 계속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연합뉴스

물가 급등으로 소비심리가 약화되고 금리인상으로 투자까지 위축되면서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 속도가 예상보다 둔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올해 경제성장률을 2.4%로 예상한 'KERI 경제동향과 전망 : 2022년 2/4분기' 보고서를 22일 발표했다. 이는 전분기에 전망했던 2.5%보다 0.1%포인트(p) 낮아진 수치다.

한경연은 물가 상승에 따른 소비 위축과 예상치를 웃도는 경기둔화 속도로 인해 올해 경제성장률이 하반기에 둔화되면서 2.4%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내수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민간 소비는 3.2%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지난해 민간소비 성장률 3.6%보다 0.4%p 낮은 것이다.

경기회복 기대감에 힘입어 회복세를 보였던 민간소비가 물가 급등과 경기둔화 불안감이라는 악재를 만나 향후 재위축 흐름을 보일 수 있다는 것이 한경연의 설명이다.

또 빠른 금리 인상 여파로 가계부채원리금 상환 부담이 커진 것도 민간부문의 소비 여력을 크게 줄어들게 했다고 한경연은 해석했다.

내수의 주요 부문 중 하나인 설비투자도 글로벌 공급망 차질 사태 장기화와 주요국의 경기둔화 등으로 -2.8%를 기록하며 역성장할 것으로 예상됐다. 지난해 설비투자 성장률 8.3%에 비해 11.1%p 낮아진 수치다.

반면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최근 20년 내 최고치인 5.3%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고 한경연은 전했다.

최근 지속된 폭우로 농·축·수산물의 가격이 급등한 것이 물가 상승폭을 확대한 것으로 풀이된다.

추석을 기점으로 높아질 수요 압력과 하반기부터 순차적으로 이뤄질 공공요금 인상도 하반기 물가 상승 속도를 빠르게 할 요인 중 하나다.

실질 수출도 역기저효과와 중국의 성장둔화 심화에 따른 여파로 지난해 9.9%보다 5.8%p 낮은 4.1% 성장에 그칠 것으로 예상됐다.

경상수지는 수출 증가폭을 뛰어넘는 수입과 서비스수지 적자 확대로 지난해 883억달러에서 올해 480억달러 수준으로 감소할 전망이다.

보고서를 작성한 이승석 부연구위원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와 주요국의 통화정책 기조 변화에 따른 글로벌 경기둔화폭 확대로 인해 교역조건 악화 상황이 장기화될 경우 수출 증가세가 더욱 위축될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