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담배꽁초 깻잎' 이어 이번엔 '모래범벅 깻잎'…중국산 제품 다시 도마 위

제보자가 촬영한 모래 범벅 중국산 깻잎. 깻잎 위의 양념같은 가루들이 모두 모래라고 한다. 제보자 A씨 제공. 연합뉴스
제보자가 촬영한 모래 범벅 중국산 깻잎. 깻잎 위의 양념같은 가루들이 모두 모래라고 한다. 제보자 A씨 제공. 연합뉴스

동네 반찬가게에서 산 깻잎 반찬에서 담배꽁초가 나왔다는 주장이 제기된 데 이어 모래 범벅이 양념과 함께 발라진 깻잎이 팔렸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번 제품 역시 '담배꽁초 깻잎'과 같이 중국산으로 확인됐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지난 15일 경기도 시흥시에 사는 A씨가 집 앞 반찬가게에서 구매한 깻잎장아찌 반찬을 먹다가 으적거리는 이물감에 뱉어냈다. 곧 다시 먹는데도 으적거리는 알갱이가 씹혀 자세히 봤더니 깻잎 양념에 모래가 덮여있었다.

A씨가 촬영한 깻잎 반찬 사진을 보면 모래는 빨간 고춧가루 양념과 함께 범벅이 돼 있었는데 입자가 밥알 크기만 한 모래알도 있다.

A씨가 구매한 깻잎은 중국에서 원재료를 수입한 뒤 국내에서 반찬으로 제조, 유통업체를 통해 전국 반찬가게로 판매된 것으로 확인됐다.

유통업계에 따르면 깻잎은 원재료 채취와 가공 과정에 인건비가 많이 들어 중국산 의존도가 높고, 국내 반찬 가게 점유율의 최대 90%에 달할 수 있다고 봤다.

반찬가게는 깻잎 금액을 환불하고 추가 보상을 해주겠다고 했지만 A씨는 보상을 거부하고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신고했다. 식약처는 반찬가게와 제조업체를 차례로 조사할 예정이라고 A씨에게 알려왔다.

깻잎 제조업체는 중국에서 깻잎을 채취한 뒤 세척, 절임, 포장 등 1차 가공 과정이나 반찬가게에서 대용량 깻잎을 소분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들어갔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20일 담배꽁초가 나와 논란을 빚었던 깻잎 반찬도 중국에서 채취한 깻잎을 세척, 저장, 절임 등의 과정을 거친 뒤 한국으로 들여온 제품이었다.

제보자가 촬영한 모래 범벅 중국산 깻잎. 깻잎 위의 양념같은 가루들이 모두 모래라고 한다. 제보자 A씨 제공. 연합뉴스
제보자가 촬영한 모래 범벅 중국산 깻잎. 깻잎 위의 양념같은 가루들이 모두 모래라고 한다. 제보자 A씨 제공. 연합뉴스

업체 측은 또 국내에서 중국산 깻잎 원재료를 반찬으로 가공하기 전 다시 세척하는데, 이때 젖은 깻잎이 달라붙어 떨어지지 않으면 이물질을 걸러내지 못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업체 관계자는 "소비자가 거짓을 말하지 않았다면 유통, 제조 과정에서 이물질이 들어갔다고 인정할 수밖에 없다. 농산물은 흙과 같은 이물질이 들어갈 위험이 항상 존재한다"고 말했다.

A씨는 "아무리 깻잎을 엉터리로 씻었다고 해도 흙이 양념처럼 가득 올려져 있는 것은 이해되지 않는다. 며칠 전 중국산 깻잎에서 담배가 나왔는데 모래까지 나와 당국의 위생 관리에 경각심을 제고하기 위해 제보하게 됐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