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새정부에 도움 될까?' 김무성 민주평통 수석부의장 내정에 비판 여론 솔솔

"박근혜 대통령 탄핵 원인 제공자"

민주평통 수석부의장에 내정된 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
민주평통 수석부의장에 내정된 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

민주평화통일위원회(민주평통) 수석부의장에 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가 내정된 것을 두고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의 인사쇄신 기조에도 맞지 않을 뿐 아니라 혼란을 겪고 있는 당을 수습하는데도 도움 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기 때문이다.

지지율 반등을 꾀하고 있는 여권에선 최근 인재풀 확장과 참신한 인재 등용을 위한 노력이 엿보인다.

하지만 더불어민주당 출신 인사가 갖고 있던 민주평통 부의장 자리에 신선하거나 평화통일 전문가가 아닌 중진 정치인 출신이 내정된 것에 대해 야권의 반발이 상당하다. 김 부의장 내정을 고리로 자칫 야권과의 협치에 균열이 생기는 것 아니냐는 분석까지 나오는 상황이다.

실제로 김 전 부의장 내정이 알려진 지난주 민주당 박홍근 원내대표는 "이석현 민주평통 부의장이 사퇴 압박에 시달리다 (직을) 내려놓자마자 후임으로 김무성 전 의원을 내정했다"며 "임기가 보장된 임명직을 반강제로 내쫓는 이유가 미리 내정해 둔 인사들을 위한 것 아닌지 의심할 수밖에 없다"고 대통령실을 겨냥했다.

김 부의장의 내정으로 박근혜 정부 시절인 2016년, 총선을 앞두고 그가 벌인 이른바 '옥새 파동' 사건도 재조명되고 있다. 여권의 공천 작업을 무산시키기 위해 여당의 수장이 최고의결 기구의 직인을 할 수 없게 만든 당시 일련의 사태가 최근 국민의힘이 시달리고 있는 '이준석 사태'와 닮아 있기 때문이다.

이를 두고 한 정치권 인사는 "대표직이라는 정치적 위상을 활용해 대통령과 척을 지고 개인적 계파 살리기에 매진하던 인사가 민주평통 같은 요직에 또다시 등용된다면 현 정권도 언제 터질지 모르는 새로운 위험 요소를 떠안게 되는 셈"이라며 "이준석 사태가 진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김무성 전 대표의 재등장으로 상당한 당원들이 지난 총선을 상기하며 차기 총선 결과를 우려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우려는 친박 출신 인사이나 '박근혜 정서'가 남아 있는 TK에서 더욱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 친박 출신 전직 의원은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은 저쪽(민주당)에서 시작한 게 아니라 이쪽(새누리당)의 계파 갈등에서 촉발된 것이고 그 주역 가운데 한 명이 김 내정자"라며 "특히 김 내정자는 이명박 대통령 시절 친박연대를 만들 정도로 우리 쪽 사람이었다는 점에서 그 배신감의 무게는 더욱 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