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한중 경제장관회의가 2년 만에 다시 열렸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유행 여파에 따라 중단됐던 양국 경제 정책 수장급 간 회의가 열린 것으로, 역시 코로나19가 주 원인이며 현 세계적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을 더욱 부추기는 요인이기도 했던 공급망 이슈에 대해 양국이 협력키로 해 시선을 모은다.
한중 양국은 이번 회의에서 공급망 협력 강화에 최초로 합의했고, 탄소중립 정책 교류를 확대하는 등 경제 협력을 추진하기로 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이날 추경호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허리펑(何立峰)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주임과 제17차 한중 경제장관회의를 화상으로 개최했다.
한중 경제장관회의 개최는 지난 2020년 10월 이후 약 1년 11개월 만이다.
한국과 중국은 공급망 협력 강화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처음으로 체결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공급망 이슈를 논의할 국장급 조정 협의체를 신설키로 했다.
정부는 과거 요소수 사태 같은 공급망 불안이 발생할 경우 논의 채널을 확보, 양측 간 정책 소통을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
경제 분야 실질 협력 강화를 위한 양해각서도 이번 회의를 계기로 체결됐다.
정부는 물론 기업이나 지방 도시, 연구소 간 교류 강화, 민간 부문 참여를 포함한 '한중 경제협력 교류회' 매년 공동 개최 등의 내용이다.
아울러 제3국 공동진출 협력 중점 프로젝트 양해각서를 매개로 양국 기업이 공동으로 진행 중인 사업 5건에 대한 협력도 강화키로 했다.
양국은 이와 함께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정책 교류를 확대한다.
양국 간 갈등 이슈이기도 했던 미세먼지를 중심으로 이뤄졌던 정책 협력을 친환경 저탄소 발전 분야로 확장하는 것은 물론, 국제사회에서 기후·환경 분야 공조를 이어나간다는 구상이다.
한국과 중국은 또한 문화 산업 등 서비스산업 발전 관련 경험을 공유하고, 문화산업 심포지엄 등 교류·협력도 강화할 방침이다.
우리 정부는 '한류'라는 연결고리로 중국 시장과 큰 연관을 가진 게임·영상·방송·콘텐츠 등 문화 분야 발전 중요성을 강조했고, 중국 측은 건강·노인 요양 등 생활 서비스 분야 협력을 제안했다.
이에 더해 우리 정부는 중국 정부에 2030년도 부산 세계박람회 유치를 위한 지지 역시 요청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