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의 결정으로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전환에 제동이 걸린 국민의힘은 당헌·당규 개정을 통해 법률적인 흠결을 보완한 후 새로운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했다. 하지만 법원의 결정을 우회하려는 여당의 고육지책을 두고 당 안팎에서 반발이 이어지고 있어 당 정상화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정치권에선 여당이 법적으로 문제가 없는 방안을 찾는 데 골몰하다 여론과 등지는 상황이 연출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지난 27일 긴급 의원총회를 열어 '법률적으로 하자가 없는 새로운 비대위 체제 구성'을 해법으로 선택했다. 주호영 비대위원장의 직무를 정지한 법원 결정에 불복하는 모양새를 피하면서 이왕 활동을 시작한 비대위 체제는 이어갈 수 있는 절충안을 마련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당 법률지원단은 당내 비상상황을 규정한 당헌 중 '선출직 최고위원 전원이 사퇴하는 경우' 등의 문구를 삽입, 비대위 전환을 위한 절차적 구체성을 확보할 방침이다. 아울러 새 비대위가 꾸려질 때까지 현 비대위는 존속한다는 게 당의 공식 입장이다.
하지만 사실상 이 전 대표를 배제하기 위한 '원포인트 당헌 개정' 추진은 부담이다. 국민의힘은 그동안 민주당의 당헌 개정을 두고 이재명 의원을 위한 '위인설법'이라고 비난했었다. 당 관계자는 "전당대회에서 선출된 대표를 타의로 물러나게 하는 게 쉽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힘으로만 밀어붙여서도 안 된다"며 "정치적으로 풀어야 할 사안을 당헌 개정까지 해야 하는 상황으로 만든 것은 두고두고 실책으로 기록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국민의힘은 권성동 원내대표의 거취 문제는 지도체제가 안정된 이후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 이 전 대표 거취만으로도 힘든 상황을 더 악화시켜서는 안 된다는 우려 때문이다.
지역 정치권에선 모처럼만에 당의 텃밭에서 보수정당의 핵심 당직을 거머쥔 상황이 너무 일찍 종료된 데에 아쉬움을 표시하고 있다. 주 비대위원장(대구 수성구갑)은 직무가 정지됐고, 정희용 비대위원장 비서실장(경북 고령군성주군칠곡군)도 활동무대를 잃었다. 김석기 사무총장(경북 경주시) 역시 차기 비대위원장이 결정되면 거취를 물어야 한다.
당내에선 현 비대위의 잘못이 없는데도 물러나야 하느냐는 주장도 나온다. '새 술은 새 부대에' 논리도 좋지만 새 비대위가 새로운 비대위원을 인선한다면 '변화를 위한 변화'로 비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당내에선 법적 하자가 없는 비대위 구성이 목표이기 때문에 관련 절차가 완료되면 주 비대위원장이 다시 비대위를 이끌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