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반갑다 새책] 나의 아름다운 할머니

심윤경 지음/ 사계절 펴냄

나의 아름다운 할머니(심윤경 지음/ 사계절 펴냄)
나의 아름다운 할머니(심윤경 지음/ 사계절 펴냄)

"나의 할머니는 모습이 사라진 뒤에도 소리 없는 함박웃음으로 내 곁에 남았고, 나는 죽을 때까지 그분을 닮고 싶다."

2002년 한겨레문학상으로 등단한 소설가 심윤경이 '나의 아름다운 할머니'를 출간했다. 작가 활동 20년 만에 처음으로 펴낸 에세이다.

지혜로운 육아법은 무엇일까. 무수히 많은 방식이 있겠지만, 아이에게 까다롭고 엄격한 잣대를 들이미는 것이 능사는 아닐 것이다. 이 책은 양육자로 살면서 마주치는 고비를 잘 극복할 수 있는 미덕을 소개한다. 바로 '사람이 주는 평화'다.

작가는 결혼 이후 딸 '꿀짱아'를 키우면서 여러 시행착오를 겪는다. 심하게 낯을 가리고 생떼를 쓰는 아이를 양육하는 일은 쉽지 않았고, 매 순간마다 난관에 부딪힌다. 인내심이 바닥을 보일 때쯤 자신의 어린 시절을 함께한 할머니에 대한 기억이 불현듯 되살아난다.

할머니는 작가가 스무살이 되던 해까지 그 곁에 머물렀다. 함께 산 기간의 절반을 '룸메이트'로 지냈지만, 할머니는 어린 손녀를 키우는 일에 크게 관여를 하지 않았다. 그저 별다른 말없이 보듬어주고, 알면서도 모른체해주며 같이 지냈을 뿐이다.

"할머니가 평생 한 말의 80퍼센트는 다섯 개, 열두 글자로 요약할 수 있다. '그려, 안 뒤야, 뒤얐어, 몰러, 워쩌'다. 표준어로 하자면 '그래, 안 돼, 됐어, 몰라, 어떡해'일 것이다."

작가의 표현대로, 할머니는 '언어의 미니멀리스트'다. 이 몇 안 되는 말로도 손녀의 마음속에 평생 쓸 수 있을 정도로 많은 사랑과 평화를 남겨줬으니 말이다. 이런 무심한 반응은 "청천벽력 같은 큰일도 견딜 만한 작은 것으로 만들어주는 그런 힘"이 있었다.

할머니의 담담한 태도는 기분이 나쁘거나, 실망스러운 상황에도 변함이 없다. 손녀가 진이 빠질 정도로 패악을 부릴 때면 혼내기는커녕 "예쁜 사람, 왜 그러나"며 부드럽게 어루만졌고, 책상 앞에 앉았지만 공부를 열심히 하지 않는 모습을 봐도 "장혀"라며 다소 후한 칭찬을 건네곤 했다.

작가는 할머니 같은 엄마가 되기로 결심하고, 또 실천한다. 할머니가 보여준 무심한 이해는 지나친 격려나 기대보다 훨씬 좋은 사랑의 방식이기 때문이다. 할머니에 관한 기억을 더듬는 여정을 천천히 따라가다 보면 독자의 마음도 그 넉넉함과 따뜻함에 조금씩 젖어든다. 224쪽, 1만3천원.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