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시 산하기관 통폐합, 임금·직급·처우 일원화 ‘골머리’

조직진단, 연구용역 거쳐 빨라야 연말 이후 본격화 전망
일단 ‘원소속’ 기관 규정 따르되 불이익 없는 방향으로 일원화
대구행복진흥사회서비스원 연봉제-호봉제, 복리후생 등 차이 커
시 소속 공무원 대구교통공사 파견수당 지급 놓고도 고심

내달 1일 대구교통공사로 통합 출범하는 대구도시철도공사와 대구도시철도건설본부 사옥 앞으로 시민들이 지나가고 있다. 매일신문DB
내달 1일 대구교통공사로 통합 출범하는 대구도시철도공사와 대구도시철도건설본부 사옥 앞으로 시민들이 지나가고 있다. 매일신문DB

대구시가 산하 공공기관 통폐합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임금 및 직급체계, 처우 등의 일원화 작업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통합 대상에 포함된 기관 수가 많고 임금 및 직급체계, 복리후생 등이 판이하게 다른 경우가 많아 내년 초는 돼야 실질적인 '일원화'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대구시는 직원 고용을 100% 승계하고 고용 형태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을 통·폐합의 대원칙으로 삼고 있다. 통·폐합 과정에서 임금이나 처우가 열악해지지 않도록 한다는 방침도 세웠다.

그러나 통·폐합 대상 기관마다 급여 및 직급체계, 복리후생 등이 제각각인 점은 난제로 꼽힌다.

이에 따라 시는 올 연말까지 관련 연구 용역이나 조직 진단 등을 거쳐 임금 및 직급 체계 재설정을 완료할 계획이다. 그 이전까지는 기존 소속 기관의 처우 규정을 그대로 따르기로 했다.

대구시설공단과 대구환경공단이 통합, 출범하는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은 혼란이 크지 않을 전망이다. 두 기관의 임금 수준이 거의 비슷하고 직급 역시 모두 '1~9급'으로 나뉘어져 있어서다.

다만 승진 및 입직 시기 등을 고려한 임금 및 직급 조정 방안은 올 연말까지 관련 연구용역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고 노·사·정 합의를 거쳐 확정하기로 했다.

대구사회서비스원, 대구평생학습진흥원, 대구여성가족재단, 대구청소년지원재단 등 4개 기관이 통합하는 대구행복진흥사회서비스원은 임금 및 처우 조정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청소년지원재단은 호봉제를, 나머지 3개 기관은 연봉제를 시행하고 있고, 직급 체계도 기관마다 상이하기 때문이다.

한 통합 대상기관 관계자는 "어떤 기관은 직급 체계가 4개로 나뉘고 다른 곳은 6개로 나뉘는 식이라서 직원들도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명절 수당이나 연말성과급 유무, 복리 후생 규정도 기관마다 판이하게 달라 정관 개정 작업이 쉽지 않을 것 같다"고 토로했다.

무려 7개 재단 및 사업소가 합쳐지는 대구문화예술진흥원 역시 임금 및 처우 체계의 조정이 '극악의 난이도'에 이른다.

대구문화재단과 관광재단, 오페라하우스재단 등 재단법인 3곳에 대구미술관, 문화예술회관, 콘서트하우스, 방짜유기박물관, 근대역사관, 향토역사관 등 시 사업소 6곳 등 무려 9곳이 합쳐지기 때문이다.

시는 우선 대구시립예술단만 대구시 소속을 유지하는 '위탁운영' 형태로 통합하는 것으로 정리했다. 나머지 기관 직원들의 임금 및 처우는 오는 10월 관련 용역을 발주해 방안을 찾을 계획이다.

대구도시철도공사와 대구시 도시철도건설본부가 통합하는 대구교통공사는 파견수당 지급여부가 쟁점으로 떠올랐다.

일단 공무원 신분을 유지한 채 지방공기업인 대구교통공사에 파견돼 근무하는만큼 파견수당 지급이 원칙적으로 가능하기 때문이다. 다만, 같은 근무지에서 동일한 업무를 수행하는 상황에서 추가 수당을 지급하는 것이 적절한 것인지를 두고 논란이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직원들이 파견 형태 근무에 대한 불안감이 있고, 우수한 인력을 우선 보내기 위해서라도 파견수당 지급 필요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예산 문제를 놓고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