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태풍 힌남노 이미 '초강력'…북동진? 서쪽으로 꺾나?

11호 태풍 힌남노 예상경로. 기상청 30일 오후 10시 발표
11호 태풍 힌남노 예상경로. 기상청 30일 오후 10시 발표
11호 태풍 힌남노 예상경로. 일본 기상청 30일 오후 9시 발표
11호 태풍 힌남노 예상경로. 일본 기상청 30일 오후 9시 발표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oint Typhoon Warning Center) 태풍 힌남노 예상경로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oint Typhoon Warning Center) 태풍 힌남노 예상경로

기상청이 30일 오후 10시를 기해 11호 태풍 힌남노 예상경로를 업데이트했다.

직전 오후 4시 예보와 큰 변화가 없다.

이날 오후 9시 기준으로 일본 오키나와 동쪽 560km 부근 해상에 위치한 태풍 힌남노는 현재 강도 '초강력'을 보이고 있다.

앞선 예보에서는 내일(31일) 새벽에 강도가 '강'에서 초강력으로 올라설 것이라고 나온 것 대비 서둘러 강도가 높아진 셈이다.

태풍 힌남노는 이어 9월 1일부터 3일 사이에 대만 동쪽 해상에서 느린 속도로 현재의 서진을 북진으로 바꾸는 선회를 한다.

9월 4일 저녁쯤에는 강도가 다시 '매우강'으로 한단계 낮아진 채 오키나와 북서쪽 230km 부근 해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곳은 제주도 남쪽 먼 해상이기도 하다.

우리나라로 태풍이 오는 주요 경로다.

다만 기상청은 앞서 밝힌 것과 같이 계속 "9월 4, 5일 후 태풍 위치가 유동적일 수 있다"고 덧붙이고 있다.

좀 더 북진 후 단골 경로인 대한해협 내지는 우리나라 남해안 및 동남권 지역을 지날 가능성과 좀 더 북동쪽으로 꺾어 일본 큐슈에 상륙할 가능성 등이 거론된다.

두 경우 모두 우리나라 제주도와 남부 지역에 영향을 끼치는 시나리오이다.

일본 기상청이 이날 오후 9시에 발표한 예상경로,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oint Typhoon Warning Center)의 같은 시각 예상경로 역시 비슷한 맥락이다.

기상청 태풍 힌남노 예상경로 (왼쪽)30일 오후 4시 발표 (오른쪽)오후 10시 발표
기상청 태풍 힌남노 예상경로 (왼쪽)30일 오후 4시 발표 (오른쪽)오후 10시 발표
일본 기상청 태풍 힌남노 예상경로 (왼쪽)30일 오후 3시 발표 (오른쪽)오후 9시 발표
일본 기상청 태풍 힌남노 예상경로 (왼쪽)30일 오후 3시 발표 (오른쪽)오후 9시 발표

그런데 각국 기상당국의 이날 낮 예보와 밤 예보를 비교해보면, 낮에 밝힌 예상경로에서는 북동진 경로가 확인됐는데, 이번에(밤에) 밝힌 예상경로에서는 북서진으로 다소 조정한 모습이 확인된다.(위 사진 참조)

이는 서쪽에 위치한 티베트고기압의 영향으로 분석할 수 있고, 실제 최종 경로에서는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없는 부분일 수도 있다.

다만, 현재 북동진 예상경로(덜 꺾어 대한해협, 더 꺾어 일본 큐슈)가 주로 언급되고 있는 가운데 애초 제기됐던 서쪽 중국행 가능성 역시 배제할 수 없게 만드는 부분이기도 하다.

힌남노(HINNAMNOR)는 태풍위원회 14개 회원국 중 라오스가 제출한 이름으로, 라오스의 한 국립보호구역을 가리킨다. 현재 '한남노'라는 명칭으로 읽거나 검색하는 네티즌이 일부 있지만, 힌남노가 공식 명칭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