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7월 생산·소비·투자 ‘트리플 위축’

소비 첫 5개월 연속 감소…“경기 개선 흐름 둔화”
대구경북 산업 생산도 내림세 전환

2022년 7월 대구지역 산업활동동향. 동북지방통계청 제공
2022년 7월 대구지역 산업활동동향. 동북지방통계청 제공

지난달 생산과 소비, 투자가 동시에 줄어드는 '트리플 감소'를 기록했다. 대구경북의 산업생산도 줄었는데, 대구의 감소 폭이 컸다.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7월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지수는 117.9(2015년=100)로 전월보다 0.3% 하락했다.

특히 소비는 지난 1995년 통계 작성 이래 처음으로 5개월 연속 감소했다. 소비 감소는 지난 3월(-0.7%), 4월(-0.3%), 5월(-0.1%), 6월(-1.0%)에 이어 다섯 달째 이어졌다. 통계청은 물가 상승에 따라 소비 심리가 다소 위축된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7월 전체 산업 생산(농림어업 제외) 지수는 117.9(2015년=100)로 전월보다 0.1% 감소했다. 전산업 생산은 4월(-0.9%) 감소했다가 5월(0.7%), 6월(0.8%) 두 달 연속 증가했으나, 7월에는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반도체(-3.4%) 경기가 위축되며 제조업을 비롯한 광공업 생산이 1.3% 줄어든 영향이다. 통계청은 중국의 반도체 수요가 주춤한 가운데 스마트폰 등 전방산업 수요도 줄었다고 설명했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와 기계류 투자가 줄면서 전월보다 3.2% 감소했다. 생산, 소비, 투자가 모두 줄어든 것은 올해 4월 이후 3개월 만이다.

같은날 동북지방통계청이 발표한 대구경북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대구의 광공업 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1.7% 감소했다.

대구 광공업 생산은 올해 4월(-1.2%) 이후 3개월 만에 내림세로 돌아섰다. 전월과 비교해서는 3.7% 감소하면서 지난 2월(-3.7%) 이후 다섯 달 만에 가장 큰 낙폭을 보였다.

같은 기간 대구의 대형소매점 판매액은 전년 동기 대비 7.4% 증가했고, 건설 수주액은 62.5% 줄었다.

7월 경북의 광공업 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0.2% 감소했다. 지난 4월(-6.8%) 이후 3개월 만에 내림세로 돌아섰고, 전월 대비로는 1.0% 하락하면서 4월(-5.4%) 이후 가장 큰 하락 폭을 기록했다.

경북의 대형소매점 판매액은 전년 대비 9.5% 줄었고, 건설 수주액은 31.7% 증가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광공업 생산이 조정받으면서 전체적으로 생산이 감소 전환했고, 소매판매 등 내수 지표들도 감소하면서 경기 개선 흐름이 다소 주춤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말했다.

2022년 7월 경북지역 산업활동동향. 동북지방통계청 제공
2022년 7월 경북지역 산업활동동향. 동북지방통계청 제공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