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생산과 소비, 투자가 동시에 줄어드는 '트리플 감소'를 기록했다. 대구경북의 산업생산도 줄었는데, 대구의 감소 폭이 컸다.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7월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지수는 117.9(2015년=100)로 전월보다 0.3% 하락했다.
특히 소비는 지난 1995년 통계 작성 이래 처음으로 5개월 연속 감소했다. 소비 감소는 지난 3월(-0.7%), 4월(-0.3%), 5월(-0.1%), 6월(-1.0%)에 이어 다섯 달째 이어졌다. 통계청은 물가 상승에 따라 소비 심리가 다소 위축된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7월 전체 산업 생산(농림어업 제외) 지수는 117.9(2015년=100)로 전월보다 0.1% 감소했다. 전산업 생산은 4월(-0.9%) 감소했다가 5월(0.7%), 6월(0.8%) 두 달 연속 증가했으나, 7월에는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반도체(-3.4%) 경기가 위축되며 제조업을 비롯한 광공업 생산이 1.3% 줄어든 영향이다. 통계청은 중국의 반도체 수요가 주춤한 가운데 스마트폰 등 전방산업 수요도 줄었다고 설명했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와 기계류 투자가 줄면서 전월보다 3.2% 감소했다. 생산, 소비, 투자가 모두 줄어든 것은 올해 4월 이후 3개월 만이다.
같은날 동북지방통계청이 발표한 대구경북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대구의 광공업 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1.7% 감소했다.
대구 광공업 생산은 올해 4월(-1.2%) 이후 3개월 만에 내림세로 돌아섰다. 전월과 비교해서는 3.7% 감소하면서 지난 2월(-3.7%) 이후 다섯 달 만에 가장 큰 낙폭을 보였다.
같은 기간 대구의 대형소매점 판매액은 전년 동기 대비 7.4% 증가했고, 건설 수주액은 62.5% 줄었다.
7월 경북의 광공업 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0.2% 감소했다. 지난 4월(-6.8%) 이후 3개월 만에 내림세로 돌아섰고, 전월 대비로는 1.0% 하락하면서 4월(-5.4%) 이후 가장 큰 하락 폭을 기록했다.
경북의 대형소매점 판매액은 전년 대비 9.5% 줄었고, 건설 수주액은 31.7% 증가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광공업 생산이 조정받으면서 전체적으로 생산이 감소 전환했고, 소매판매 등 내수 지표들도 감소하면서 경기 개선 흐름이 다소 주춤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