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1일 세종을 제외한 지방 전체를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한 가운데 전국 아파트 매매와 전셋값이 한국부동산원의 시세조사 시작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다. 추가 금리 인상에 대한 우려와 거래 침체로 서울 아파트값은 17주 연속 하락세다.
22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 주 전국 아파트 값은 지난주보다 0.19% 하락했다. 지난주(-0.16%)보다 낙폭이 커졌을 뿐 아니라 부동산원이 2012년 5월 7일 아파트 시세 조사를 시작한 이후 10년 4개월 만에 하락 폭이 최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현상이 벌어진 것은 년내 추가 추가로 금리 인상이 예고된 데다 경기 침체와 집값 하락 우려가 확산하고 있어서다. 거래 공백 상태가 상당 기간 지속되고 있는 것도 이유로 꼽힌다.
서울은 이번 주 0.17% 떨어지며 17주 연속 하락했다. 서울의 낙폭은 2012년 12월 10일(-0.17%) 이후 9년 9개월 만에 가장 크다. 지난주에 이어 도봉구 아파트값이 -0.31%로 서울 25개 구 가운데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고, 노원구(-0.28%), 종로구·중구·서대문구(-0.25%), 은평구(-0.24%), 송파구(-0.22%) 등도 많이 하락했다.
경기도(-0.25%)와 인천시(-0.29%)도 약세가 지속됐다. 이런 흐름 탓에 수도권 전체 아파트 값도 지난주(-0.20%)보다 큰 0.23% 떨어졌다. 수도권 하락 폭은 2012년 8월 6일(-0.24%) 이후 10년 1개월 만에 가장 크다.
의왕시(-0.40%), 의정부시(-0.43%), 화성시(-0.42%), 광명시(-0.41%) 등지가 하락을 주도했다. 정부가 21일 열린 주거정책심의위원회를 통해 투기과열지구에서 해제한 인천 연수구(-0.36%), 남동구(-0.21%), 서구(-0.31%) 등지도 하락 폭이 컸다.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된 지방 광역시·도 역시 이번 주에도 아파트 값 약세가 지속됐다. 투기과열지구만 풀린 세종시는 이번 주 0.44% 떨어지며 지난주(-0.40%)보다 낙폭이 커졌다.
전셋값도 약세가 지속되고 있다. 금리 인상 여파로 추석 연휴 이후에도 좀처럼 새로 이전하는 수요가 많지 않다.
전국 아파트 전셋값도 이번 주 0.19% 하락했다. 역시 부동산원이 2012년 5월 시세 조사를 시작한 이후 가장 하락 폭이 크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0.16% 떨어졌다. 지난주(-0.12%)보다 하락 폭이 커졌을 뿐 아니라 2019년 2월 25일(-0.17%) 조사 이후 3년 7개월 만에 최대 폭으로 떨어진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측 "대선 유세로 재판 빼달라"…재판부, 5월 2차례 일정 추가
중앙선관위원장 "부정선거 발생할 수 없다…결과에 승복해달라"
'보수 지지율 1위' 김문수 대선 출마…오늘 국무회의 직후 장관직 사퇴 [영상]
김문수 "깨끗한 제가 이재명 이긴다"…대선 출마 공식선언 [영상]
황교안 대선 출마 예고 "국민의힘 탈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