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매일칼럼] 정부, 포스코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 나서야

김병구 동부지역본부장
김병구 동부지역본부장

태풍 힌남노가 할퀴고 간 포항 지역의 피해가 너무나 심각하다. 포항 지역 경제가 휘청거릴 판이다.

그 중심에는 포스코 포항제철소가 있다. 창사 49년 만에 전기가 끊기고 고로 가동이 전면 중단되는 초유의 사태를 맞아 직원들과 자원봉사자 등이 복구에 밤잠을 설치고 있지만 역부족이다.

포스코 협력사들도 살얼음판을 걷고 있다. 얼음판이 언제 연쇄적으로 깨질지 두려움에 휩싸여 있다. 포항 시민들도 자신들의 피해 못지않게 '포스코 사태'를 걱정스럽게 지켜보고 있는 상황이다. 포스코 사태의 여파가 어디까지 얼마나 미칠지 가늠하기조차 힘들 정도다.

포스코 현장 직원들에 따르면 4, 5층의 선강공장과 달리 1층에 자리 잡은 압연라인의 침수 피해가 너무 커 1년 내 정상 가동을 장담하기 어렵다는 전언이다. 압연라인 중 열연·냉연·후판·선재공장의 설비는 토사 제거와 세척 등 복구 후에도 재사용 여부가 불투명하다는 것이다. 또 상당수가 일본, 독일 등 해외 설비여서 새로 설치하는 데 10개월 이상이 걸릴 것이라는 관측이다.

초유의 사태를 맞아 퇴직한 설비 라인 직원들까지 재입사 또는 임시 고용 형태로 투입돼 복구에 총력을 쏟고 있다고 한다. 이런 판에 정부와 포스코 경영진의 대응은 너무 안이하다. 포스코 경영진은 피해 실상을 명확하게 밝히지도 않은 채 당초 3개월 안이라던 정상화 시점을 최근 내년 1분기 안에 피해를 복구하고 완전 정상화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정확한 피해규모와 실상, 향후 여파에 대한 진단이나 설명은 없는 상태에서 곧 정상화가 가능하다는 말만 되풀이하고 있는 것이다.

정부도 피해 복구에 여념이 없는 포스코를 상대로 태풍 대비에 미흡했는지 여부를 따지겠다며 TF(태스크포스)를 꾸려 조사를 벌이고 있다.

빠른 정상화를 호언장담하는 포스코 경영진이나, 원인 파악과 사후 대책에 대한 책임을 따지겠다는 정부 모두 이번 포스코 사태에 대한 대응은 한심하기 짝이 없다. 포스코 경영진은 '수개월 내 정상화'란 막연한 말만 앞세울 게 아니라 피해 실상과 향후 파장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진단해 투명하게 밝혀야 한다. 그런 다음 정부와 지방자치단체(포항시, 경북도)에 전폭적인 지원을 요청해야 한다. 포스코는 '일개' 기업이 아니라 국내 철강산업과 포항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한 '국민' 기업이기 때문에 피해 복구나 지원에 정부와 지자체가 적극 나서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정부는 단순히 민간기업에 대한 복구 지원 차원이 아니라 국내 철강산업의 국가경쟁력을 위해서, 또 막대한 태풍 피해를 입은 포항 시민과 지역 경제를 살린다는 차원에서 시급히 통 큰 지원에 나서야 하겠다.

자연재해에 대한 1차적 책임은 정부와 지자체에 있을 수밖에 없고, 지원과 보상도 마찬가지다. 특히 태풍 피해의 직접적인 원인 파악과 재난 대비 시스템 점검은 피해 실상에 대한 면밀한 파악과 완전한 복구 이후에 해도 늦지 않다.

포스코의 문제가 곧 포항시의 문제이고, 포항 지역 환경이 곧 포스코의 환경이란 점에서 포항시와 포스코가 서로 떼놓고 각자도생할 수 없는 '동일체'란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이번 사태가 주는 교훈이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포스코와 포항시가 관계 재정립을 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포스코와 포항시가 투자나 입지 등을 둘러싸고 대립과 갈등을 통해 소모전을 할 게 아니라 그야말로 상생협력을 공고히 할 때가 바로 지금이다. 여기에는 포스코와 포항의 태풍 피해 복구와 재도약을 위한 정부의 즉각적이고도 전폭적인 지원이 필수적으로 뒷받침돼야 하겠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