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이준석 전 대표가 정진석 비상대책위원장 등을 상대로 낸 직무 정지 등 3·4·5차 가처분 신청을 법원이 6일 모두 기각했다. 그리고 당 윤리위원회는 7일 이 전 대표에게 '당원권 1년 추가 정지'를 결정했다. 이로써 지난 7월 당 윤리위원회가 이 전 대표의 성 상납 증거 인멸 시도를 인정해 '당원권 정지 6개월'의 징계를 결정하면서 촉발된 당 내분 사태는 석 달 만에 일단락됐다.
우리 정당사에서 '30대 0선 당 대표'라는 신기록을 세운 이 전 대표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 좀체 활로를 찾지 못하던 보수 진영을 회생시킬 '젊은 피'로 큰 기대를 모았다. 이 전 대표는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 승리에 기여하는 것으로 그런 기대에 부응하는 듯했다.
하지만 대선 과정에서 윤석열 후보와 각을 세우고 세 번이나 '가출'하는 등 '자기 정치'에 집착했고 집권 후에도 '내부 총질'을 계속했다. 신선한 '청년 정치'를 기대했지만 보여 준 것은 기성 정치인보다 더 노회한 '구태 정치'라는 비판이 나오는 것은 당연했다. 이 전 대표는 당원권 1년 정지가 추가됨에 따라 내년 초에 전당대회가 열려도 당권 도전이 불가능하다. '정치는 생물'임을 감안하면 예단할 수는 없지만 국민의힘 소속으로는 미래를 기약하기 어려워 보인다.
이렇게 된 것은 이 전 대표와 진흙탕 싸움을 벌인 '윤핵관'의 책임도 있지만 무엇보다 자기 정치의 덫에서 벗어나지 못한 이 전 대표의 자업자득이다. 그런 자기 중심적 배제의 정치로는 국민의 지지를 얻지 못한다. 잘 하면 우리 정치의 큰 나무가 될 수도 있었을 떡잎이 스스로 미래를 닫아 버리는 모습이 참으로 안타깝다.
국민의힘 '주류'도 반성해야 한다. '이준석 사태'로 석 달을 끌었다는 사실은 '정치력의 빈곤'이 어느 정도인지를 잘 말해 준다. 이는 복합 경제 위기 극복에 전력을 쏟아야 할 시간을 집안 싸움으로 허비하도록 했다. 여기에다 친윤 핵심들의 잦은 말 실수와 각종 실책이 가세하면서 윤석열 대통령과 당의 지지율은 바닥을 긴다.
이런 지지율로는 할 수 있는 게 별로 없다. 여당이 의석수에서 야당에 밀려도 대통령과 당의 지지율이 높으면 국정 운영은 동력을 얻는다. 국민의 지지를 얻으려면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지 깊이 성찰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