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투자자들에게 '검은 월요일'이 현실이 됐다. 데이터센터 화재에 따른 서비스 장애 여파로 시가총액 2조원이 증발한 것이다. 카카오 측은 비상경영 체제에 돌입했다.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카카오는 전 거래일 대비 3천50원(5.93%) 내린 4만8천35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날 카카오 주식은 개장 직후 9%대 급락하며 4만6천500원까지 떨어져 52주 신저가를 쓰기도 했다. 카카오페이(-4.16%), 카카오뱅크(-5.14%)도 급락세를 보였다. 카카오페이와 카카오뱅크 모두 장중 3만2천450원, 1만5천950원까지 떨어져 52주 신저가로 추락했다.
시가총액도 큰 폭으로 줄었다. 전 거래일에 39조1천660억원 수준이던 카카오·카카오뱅크·카카오페이·카카오게임즈의 시가총액은 이날 37조1천99억원으로 떨어졌다. 심지어 카카오 그룹주 시가총액은 개장 10분 만에 전 거래일 대비 3조4천761억원이 감소해 35조6천899억원으로 줄기도 했다.
카카오 그룹주 동반 약세는 예견된 수순이었다. 지난 15일 오후 SK C&C가 운영하는 데이터센터에서 화재가 발생하면서 카카오 계열 서비스 대부분이 중단됐고, 정상화는 더뎠다. 핵심 플랫폼인 카카오톡이 서비스 시작 12년 만에 최장기간 서비스 장애를 빚었다.
다만 시장에서는 "개인 투자자들의 저가 매수 심리 덕분에 우려했던 것보다는 낙폭이 크지 않았다"는 말도 나온다. 이날 개인 투자자들이 카카오를 1천344억원 규모로 순매수해 전체 종목 중 가장 많은 순매수 규모를 기록했다. 카카오뱅크(222억원)도 순매수 상위 5위에 이름을 올렸다.
상황이 엄중하다보니 카카오는 위기 타개책으로 비상대책위원회 카드를 꺼내 들었다.
카카오는 전날 홍은택 카카오 공동체얼라인먼트 공동 센터장이자 카카오 각자대표를 위원장으로 하는 비대위를 꾸렸다고 발표했다. 화재 직후 경영진과 각 부문 책임자로 구성해 가동해온 대응 컨트롤타워를 전환 출범한 것이다. 카카오페이와 카카오모빌리티 등 주요 자회사 책임자도 비대위에 참가한다. 카카오가 전사 차원의 비대위를 구성해 비상경영 체제에 돌입하며 위기 대응에 나서는 것은 2006년 창립 이래 처음으로 알려졌다.
카카오 관계자는 "2010년 3월 카카오톡 출시 이후 이렇게 장기간 오류가 난 것이 처음이기에 비대위도 처음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카카오는 이번 사태로 기업 평판 하락뿐만 아니라 정부와 정치권의 각종 조사와 법·제도적 규제 강화 칼날을 피하기 어려워졌다.
여기에 이용자들의 집단소송을 포함한 피해 보상 목소리도 점점 커지는 분위기다.
17일 현재 네이버에는 '카카오톡 화재 장애로 인한 손해배상'과 '카카오톡 피해자 모임' 등 피해 보상을 위한 카페가 개설됐다.
네이버 카페를 개설해 소송 참여자 모집에 나선 신재연 변호사는 "화재 원인이 어디에 있든 그런 상황에 미리 대비하지 못한 카카오 측 과실에 대해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을 것"이라며 "손해를 입증하는 요건이 다소 까다로울 수는 있지만, 서비스를 무상으로 이용한다고 해서 기업의 손해배상 책임이 면제되는 것은 아니다"고 주장했다.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