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이 서욱 전 국방부 장관과 김홍희 전 해양경찰청장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검찰이 이 사건과 관련, 구속영장을 청구한 것은 처음이다.
서 전 장관은 2020년 9월 해양수산부 공무원 고 이대준 씨가 자진 월북했다는 정부 판단과 배치되는 내용의 군사 기밀을 군사통합정보처리체계(MIMS·밈스)에서 삭제하도록 지시한 혐의를 받고 있다. 김 전 청장은 청와대 국가안보실 방침에 맞춰 확인되지 않은 증거를 사용하는 방식 등으로 이 씨의 자진 월북을 단정하는 수사 결과를 발표하도록 한 혐의를 받고 있다.
최근 감사원은 문재인 정부 당시 핵심 안보 라인이 이 사건을 조직적으로 은폐·왜곡한 것으로 판단하고 관련자 20여 명에 대한 수사를 검찰에 요청했다. 핵심 고위층들이 의도적인 '월북 몰이'에 나섰던 것으로 볼 수밖에 없는 정황들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열린 관계장관회의에서 자진 월북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감사원은 지목했다. 이 회의 직후 서 전 장관 지시에 따라 밈스에 탑재된 군 첩보 관련 보고서 60건이 삭제됐다. 피살된 이 씨가 월북을 위해 챙겨 입었다던 구명조끼는 표류 중 중국 어선에서 얻어 입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 씨가 입고 있던 구명조끼는 한자가 적혀 있어 국내에서 사용하지 않는 제품이라는 등 월북과 배치되는 내용의 보고를 받자 김 전 청장은 "나는 안 본 거로 할게"라고 했다고 감사원은 밝혔다.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은 국민의 생명 보호가 국가의 최고 책무라는 점에서 실체 규명이 최우선이다. 검찰 수사를 통해 은폐·왜곡 여부 등 진상이 밝혀져야 한다. 감사원이 수사를 요청한 다른 혐의자들에 대한 수사도 시급하다. 특히 문재인 전 대통령이 어떤 보고를 받고 어떤 지시를 내렸는지는 진상 규명을 위해 반드시 확인해야 할 내용이다. 감사원 서면조사 요청을 "대단히 무례한 짓"이라고 했던 문 전 대통령은 검찰 수사 요청에 대해서는 응하는 게 맞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