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대장동 특검'을 제안한 건 본질 흐리기 시도임을 부인하기 어렵다. 검찰 수사가 이재명 대표의 비위를 조준하고 있다는 건 명확하다. 불법 정치자금 수수 혐의 기소를 코앞에 두고 특검으로 프레임을 교체하자는 주장은 비정상적인 경로로 보인다. 특검 제안이 실현된다 해도 갈 길이 구만 리인 탓이다. 특검 조직 구성, 수사 범위 확정 등 샅바 싸움이 뻔하다. 특검 제안의 진정성을 공감하지 못하는 까닭이다.
특검 제안을 사실상 시간 끌기라는 의심의 눈초리로 보는 건 무리가 아니다. 수사가 일사천리로 진행되고 있는데 구태여 특검 카드를 내미는 건 어색하다. 오히려 민주당은 민주연구원 부원장실 압수수색을 막으려 물리적 충돌도 서슴지 않았다. 당연한 수사 절차이고 법원의 판단에 따른 것임을 알면서도 민주당은 침탈의 영역으로 곡해했다. 특검 방식이 자신들의 의도와 다를 경우 불복할 개연성이 짙다고 볼 수 있는 대목이다.
무엇보다 대장동 사건 수사를 정치 보복이라 부르기도 민망하다. 민주당 대선 경선 과정에서, 그것도 민주당 내부에서 제기된 이슈인 탓이다. 이제 와서 야당 탄압 프레임을 씌워 특검 도입을 주장하는 것은 자가당착이다. 이미 문재인 정부 시절 국민의힘에서 수차례 특검 도입을 시도했으나 번번이 민주당이 거부한 바 있다. 윤석열 대통령과 관련한 의혹을 수사 대상에 포함해야 한다고 못 박은 것도 물타기 시도로 읽힌다. 검사 시절 윤 대통령의 부산저축은행 수사 무마 의혹 등이 비리 세력의 종잣돈을 지켜주었다는 주장인데 대장동 사건과 거리가 멀다. 수사 본질 왜곡에 다름 아니다.
"도둑 잡는 게 도둑에겐 보복으로 보일 수 있겠지만 적폐와 불의를 청산하는 게 정치 보복이라면 그런 보복은 매일 해도 된다"던 이재명 대표다. 무혐의를 확신한다면 검찰 수사에 응하면 될 일이다. 서민 경제가 불안하고 국제 정세가 엄중한 시국에 정쟁을 멈추고 민생에 집중하는 최적의 방식은 신속하고 엄정한 검찰 수사다. 극단적 정쟁이 불가피한 특검 도입 주장을 '저항으로 포장된 시간 끌기 구태'라 규정하는 이유다. 정략적 분위기 전환을 노리는 특검 카드는 거두는 게 민생 정치에도 옳은 길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