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15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첫 정상회담을 개최했다.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발리를 방문 중인 양국 정상은 당초 공지된 시각을 다소 넘겨 오후 5시 11분쯤 회담을 시작했다. 회담은 25분간 진행돼 오후 5시 36분쯤 종료됐다.
지난 5월 취임한 윤 대통령과 시 주석이 공식회담을 갖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윤 대통령은 당선인 시절인 지난 3월 25일 시 주석과 첫 통화를 했다.
한중정상회담으로서는 전임 문재인 정부 당시인 지난 2019년 12월 23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개최된 이후 3년 만이다.
윤 대통령은 이날 모두발언을 통해 "상호 존중에 기반한 성숙한 한중 관계를 위해 협력하겠다"며 "경제·인적 교류를 포함해 한반도 역내 평화와 안정, 나아가 기후변화와 에너지 같은 글로벌 이슈에 대해서도 협력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 정부의 외교 목표는 동아시아와 국제사회의 자유, 평화, 번영을 주도하고 기여하는 것"이라며 "국제사회의 자유, 평화, 번영을 추구하는데 중국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과 중국의 긴밀한 소통과 협력이 양국의 공동이익에 부합한다고 강조했다.
양국 정상은 이날 오전 G20 정상회의장에서도 사전환담을 했다. 시 주석은 "오늘 회담을 기대한다"고 말했고, 윤 대통령은 이에 화답해 지난 3월 시 주석의 당선 축하 전화에 감사의 뜻을 표했다.
이날 G20 정상회의 일정이 다소 지연되면서 한중정상회담 시간도 밀리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지만, 또 다른 일정에 참석하지 않는 방식으로 정상회담 시각을 맞춘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윤 대통령은 '글로벌 인프라 투자 파트너십(PGII)' 행사에 참석하지 않았다면서 "다음 일정을 감안해 부득이하게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을 대참시켰다"고 대통령실은 전했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역시 MBC는 못믿겠다…중요 발언 편파적 편집"
[단독] 문형배 탄핵안 발의, 국회 심사 시작됐다 [영상]
尹 대통령 지지율 51%…탄핵 소추 이후 첫 과반 돌파
헌재 "최 대행, 헌법소원 인용시 안 따르면 헌법·법률 위반"
대통령실 前 행정관 "홍장원, 대북공작금 횡령 의혹부터 해명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