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매일춘추] 2차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

최성규 미술중심공간 보물섬 대표

최성규 미술중심공간 보물섬 대표
최성규 미술중심공간 보물섬 대표

지난 9일 국립한글박물관 1층 강당에서는 제2차 문화예술교육종합계획의 방향에 대한 토론회가 있었다. 우리 일상생활 속에서 접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을 내년부터 2027년까지 이어 나갈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자리였다.

2015년엔 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국가의 문화 역량 강화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문화예술교육 지원법이 제정되었다. 이 법은 문화예술교육의 지원에 필요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을 활성화한다고 명시되어있다. 이 법을 통해서 2018년 제1차 문화예술교육종합계획(2018~2022)을 수립하고 문화예술교육을 전국 각지로 확산시켰다.

문화예술은 예전에는 구슬치기, 딱지치기 등 놀이문화는 동네마다 골목마다 있었던 자연스러운 우리네 일상의 한 부분이었는데 이제는 의식적으로 종합계획을 수립해서 체계적으로 진행된다는 것이 자칫 이해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술 활동도 취미에 맞으면 하고, 다른 취미가 있으면 안 해도 되는 것인데 굳이 국가적인 계획을 세워야 하는지 의아할 수도 있다. 이제는 그만큼 우리나라가 국민 개개인의 삶의 질을 생각한다는 것이다. 문화예술을 생각하는 사회는 단순히 먹고사는 것만이 삶을 풍요롭게 하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해주는 수준 높은 시민사회를 반증한다.

2018년 제1차 종합계획 수립 이후에 우리 사회는 팬데믹 기후 위기, MZ세대의 등장, 인구 고령화 등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다. 특히 개인의 취향과 관심에 따른 문화예술 참여가 높아지고 장기화한 사회적 거리두기 재난 등으로 인해 사회적 치유와 회복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처럼 급격히 변화하는 사회적 요구와 변화를 반영하고 다가오는 미래 사회를 준비하기 위해서 문화예술교육의 역할이 지금보다 더욱 확대되어야 하는 시점에 놓여 있다고 생각한다. 문화와 예술은 정확히 정의하기 힘든 현재진행형이기에 문화예술교육도 활동으로서 본다면 항상 변화되고 시도되는 것이다. 물론 문화예술교육을 단순히 국민 서비스로 생각하는 경향과 도구로 생각하는 생각도 지양되어야 한다.

향후 5년간의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을 결정하는 제2차 문화예술교육종합계획의 수립을 앞두고 깊이 생각해볼 문제가 있다. 1차에 이어 2차 계획 역시 중요한 화두는 '지역'이다. 문화예술교육이 국민들의 삶의 곁으로 더 가까이 가기 위해서 지역이 중심이 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문화예술교육의 확산을 위해서 지역 중심의 정책은 필요하지만 중요한 것은 지역의 주체이다. 정말로 주체가 잘 형성되어 있으며, 형성될 수 있는가? 광역단위의 문화예술교육 정책이 지역의 환경에 맞춰 미래지향적으로 잘 수립된다는 느낌을 받기는 어렵다. 지역은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방향성과 관련한 논의가 밑으로부터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 못하다. 보여주기식 축제와 행사보다 연구·개발(R&D) 투자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부족하다. 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만드는 데 연구비가 필요한지에 대한 인식도 부족하다. 그렇다면 과연 문화예술교육의 지역 이양이 지역의 주체들을 얼마나 신나게 할 것인가에 대한 자성의 태도가 필요하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