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 로켓 '아르테미스(Artemis)Ⅰ' 발사와 함께 반세기 만에 인류가 달에 발을 내딛기 위한 대장정을 시작했다. 인류의 달 복귀 시도는 1972년 아폴로 17호 이후 50여년 만이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 따르면 '아르테미스' I 로켓은 16일 새벽 1시 48분(현지시간·한국시간 오후 3시 48분) 미국 플로리다주 케네디우주센터에서 발사됐다.
이번 발사는 앞서 지난 8월 29일과 9월 3일에 로켓 엔진 온도센서 결함과 수소연료 누출 등으로 각각 중단된 뒤 세 번째 시도다. 허리케인으로 일정이 조정된 것까지 합하면 다섯 번째다.
우주비행사를 태우지 않고 달까지 다녀오는 '무인 로켓' 아르테미스Ⅰ은 '우주발사시스템'(Space Launch System·SLS)과 오리온 우주선으로 이뤄져 있다.
오리온 우주선을 탑재한 SLS 로켓은 높이 98m로 30층 건물에 맞먹고 무게는 2500t에 달한다. 로켓을 밀어 올리는 힘(추력)은 4000t으로 역대 최강으로 꼽힌다.
발사에 성공하면, SLS 로켓 발사 후 약 2시간 뒤 상단에 탑재된 유인캡슐 '오리온'이 분리돼 달로 향하는 달 전이궤도에 올려놓게 된다.
오리온은 달 너머 6만4천㎞까지 더 나아가는 '원거리역행궤도'를 비행한 뒤 다음 달 11일 지구로 돌아와 샌디에이고 연안의 태평양에 입수할 예정이다. 이로써 25일 11시간 36분에 걸친 무인 비행을 마친다.
오리온 우주선에 실린 더미(마네킹)에는 방사선을 측정할 센서가 부착됐고, 좌석에 배치된 센서들은 우주선의 가속과 진동을 기록한다. 방사능 감지기로 얼마나 많은 방사선 노출이 있는지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SLS와 오리온은 1972년 아폴로17호 이후 50여 년 만에 달에 우주비행사를 착륙시키려는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의 주력 로켓과 우주선으로 개발됐으며, 이번이 첫 비행이다.
이번 임무가 성공하면 아르테미스 프로젝트 2단계가 오는 2024년에 이어진다. 우주선에 사람을 태우고 달 궤도를 돌고 돌아오는 임무다.
이어 2025년 예정된 아르테미스 프로젝트 3단계에는 실제 우주인들이 달에 착륙할 계획이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역시 MBC는 못믿겠다…중요 발언 편파적 편집"
尹 대통령 지지율 51%…탄핵 소추 이후 첫 과반 돌파
[단독] 문형배 탄핵안 발의, 국회 심사 시작됐다 [영상]
헌재 "최 대행, 헌법소원 인용시 안 따르면 헌법·법률 위반"
대통령실 前 행정관 "홍장원, 대북공작금 횡령 의혹부터 해명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