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매일신문 이웃사랑 20주년] "따뜻한 공동체 비추는 창구 역할…지역언론의 긍정적 기능"

이웃사랑은 '언론의 상관조정 기능'을 잘 보여주는 사례
사실보도를 넘어 지역민들에게 세상의 가치를 알리는 언론의 사회화 기능

박한우 영남대 언론정보학교수
박한우 영남대 언론정보학교수

매일신문의 이웃사랑은 지난 20년간 지역 사정을 전달하는 역할을 넘어 위험에 처한 시민들에게 적극적으로 도움의 손길을 건넸다.

지난 2019년 12월 이웃사랑은 한국기록원으로부터 '한국 신문사 최장 불우이웃돕기 연재 및 최고 누적 성금액 모금' 신기록 달성을 인증 받기도 했다.

이웃을 돕는 기부행렬이 20년간 꾸준히 이어질 수 있었던 이유는 독자들이 십시일반으로 보내온 따뜻한 마음과 더불어 단순 정보전달 기능을 넘어선 언론의 긍정적인 기능이 작용했다.

박한우 영남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이웃사랑 코너에 대해 언론의 '상관조정 기능'을 잘 나타낸 사례라고 호평했다. 수용자들에게 대응책을 제시하고 실제로 도움으로 이어지게 만드는 언론의 사회보완적 기능을 더했다는 것이다.

박 교수는 "언론의 상관조정 기능이란 사회적 책임을 지니는 주체로서 지역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며 "이웃사랑이라는 코너는 지역민에게 사회가 이렇게 밝고 살 만한 가치가 있다는 걸 보여주는 창구 역할을 했다"고 이웃사랑의 역할에 대해 평가했다.

그는 지역 언론이 사회에 끼치는 역사적인 맥락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박 교수는 "매일신문사의 지난 역사를 살펴보면 국채보상운동 등에도 참여하며 어려운 시기에 계몽적인 역할을 했다. 이러한 역사적인 활동들이 구조적인 기반이 돼 이웃사랑 같은 코너로 이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웃사랑은 단순히 복지 모금을 대행하는 게 아니라 사회적 캠페인을 주도했다"며 "사회복지기관이 아닌 언론사가 20년 넘게 장기간 연재했다는 그 자체만으로도 언론사가 사회에 책임을 다하기 위해 충분히 노력했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이웃사랑이 20주년을 맞이한 것에 대해 "언론이 사회의 회복 탄력성을 복원시키는 사회화 기능도 하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라며 "앞으로는 더욱 다양한 복지기관과 협력해 더욱 발전해나가길 바란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