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국은행, 기준금리 0.25%p 인상해 3.25%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이 지난 18일 발표한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이 지난 18일 발표한 '금리 인상에 따른 민간부채 상환 부담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기준금리 인상이 계속되면서 기업과 가계를 합산한 국내 민간부문 대출이자 부담이 내년 말까지 33조6천억원 늘어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사진은 이날 서울 시중 은행에 대출금리 안내문 모습. 연합뉴스

한국은행이 사상 첫 6연속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0.25%포인트(p) 더 올려 3.25%가 됐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24일 오전 9시부터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개최, 현재 연 3.00%인 기준금리를 3.25%로 0.25%p 올렸다.

이는 4·5·7·8·10·11월 6차례 연속으로 기준금리를 올린 것이다.

아울러 지난 1년 3개월 동안 0.25%p 인상은 7차례, 0.50%p 인상은 2차례 있었다. 모두 합하면 이 기간 2.75%p 상승시킨 것이다.

▶금통위는 물가 오름세가 꺾이는 징후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고 있는 점을 고려한 맥락이다.

당장 지난 10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9.21로 나타나, 1년 전 동월 대비 5.7% 올랐다. 이같은 전년 같은달 대비 상승률은 7월 6.3%로 정점을 찍기는 했으나, 8월 5.7%, 9월 5.6%로 낮아지다 이번에 5.7%로 소폭 높아진 것이다.

향후 1년 물가 상승률 전망 지표인 기대인플레이션율(일반인)은 11월 4.2%로 나타났다. 이 역시 지난 10월 4.3% 대비 하락했으나, 7월 정점이자 역대 최고 기록 4.7% 이래 5개월째 4%대를 지속하고 있다.

또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4연속 자이언트 스텝(0.75%p 인상)에도 발을 맞춘 모습이다.

직전에 한국 기준금리는 3.00%, 미국 기준금리는 3.75~4.00%로 최대 1%p까지 격차가 나타났는데, 이를 일단은 줄이는 맥락이다.

기축통화인 미국 달러에 비해 경쟁력이 낮은 원화는 미국 기준금리가 한국 기준금리보다 높을 경우 유출 위험이 높아지고 가치 역시 떨어질 위험이 커진다.

▶다만 전날 미 연준이 발표한 1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C 의사록에서는 "미국 기준금리 인상 속도가 느려지는 게 적절하다"고, 즉 '속도조절론'을 강하게 밝혔는데, 이에 미국의 자이언트 스텝 자체가 사실상 막바지라는 해석이 나오며 미국 증시가 상승했고, 이럴 경우 한국 역시 금리 인상 행보가 막바지이며 앞으로는 이전 만큼 과도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충분히 나올 수 있는 상황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