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4일 이후 열흘 넘게 이어지고 있는 화물연대 집단 운송거부에 대한 정부의 강경 대응을 두고 여야가 상반된 반응을 보이고 있다.
화물연대 집단 운송거부 11일째인 4일 윤석열 대통령은 용산 대통령실에서 관련 관계 장관 대책회의를 주재하고 법과 원칙에 따른 엄정한 대응을 지시하는 한편, 참석 장관들과 업무개시명령 발동, 사법적·행정적 조치 등 대응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여당인 국민의힘은 화물연대 파업을 '불법 폭력 파업'으로 규정하고 정부의 원칙적 대응을 주문하는 동시에 민주노총과 더불어민주당을 싸잡아 비판했다.
박정하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국민이 '노동자'라는 이름 때문에 눈 감고 귀 막아줬던 시절은 끝났다. 민노총은 현실을 직시하고 불법 파업을 중단하라"고 촉구하면서 "민주당은 '노란봉투법'을 강행해 민노총의 수시 파업을 보장하려 하고 있다. '막무가내 파업 폭력을 보장하자'는 정당을 국민이 어떻게 받아들일 수 있겠나"라고 직격했다.
또 "정부는 민주당을 등에 업고 사실상 정권퇴진운동을 벌이는 민노총을 상대로 물러서지 말고 원리 원칙대로 대응할 것을 강력히 주문한다"고 요구하기도 했다.
장동혁 원내대변인도 서면 논평에서 "국가 경제를 망치는 불법 폭력파업을 허용해선 안 된다"며 "정부는 추가로 업무개시명령을 발동해서라도 강성귀족노조의 불법 폭력 파업을 반드시 끊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화물연대가 불법 폭력파업을 정당화시켜 줄 노란봉투법을 통과시키라고 민주당에 지령내리고 있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당권주자인 김기현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민노총 같은 과격한 불법 폭력행위에 대해 관용이 아니라 책임을 묻고 강력하게 징벌하는 새로운 산업노동 질서를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주당은 정부의 강경한 대응을 '공권력 휘두르기', '노동자 탄압'으로 규정하며 대화와 타협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이수진 원내대변인은 이날 국회에서 브리핑을 갖고 "윤석열 정권의 온 국가기관이 나서서 화물연대 노동자들을 탄압하고 있다"며 "대화와 타협은 없고 공권력 휘두르기만 있다"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이 원내대변인은 "안전운임제 노정 합의 정신은 온데간데없고, 정부가 나서서 안전운임제 완전 폐지로 겁박하고 있다"며 "이것이 국가 경제를 책임지는 정부의 모습이냐"고 지적했다.
이어 "낯 두꺼운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파업을 재난으로 규정하고 윤희근 경찰청장을 앞세워 노동자 때려잡기에 나섰다"며 "이태원 참사에 책임지고 사퇴하라는 국민 요구를 화물연대 탄압으로 호도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나아가 "적대적 노정관계로 얻을 것은 없다"며 "정부는 화물 안전 운송과 화물 노동자 처우 개선을 중심에 놓고 대화와 타협을 해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